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salt kimchi with salt partially replaced by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SH). We prepared kimchi with seasonings in which salt was replaced by 0% (S00), 10% (S10), 20% (S20) and 30% (S30) SH. The salinity level of kimchi was about 1%,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Although lactic acid bacterial numbers of kimchi replaced with SH (S10~S30)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S00), the pH and titratable acidity of kimchi replaced with S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ardness of kimchi tended to increase as fermentation progressed and with SH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corroborat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upon addition of SH.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espite replacement of salt in kimchi seasoning by SH up to 10%.
본 연구는 소금을 된장, 간장 및 고추장으로 대체한 우육포의 품질특성 구명 및 전통장류를 이용한 우육포의 제조가능성을 타진코자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 이용된 원료육은 한우육의 semimembranosus 근육을 이용하여 동일한 염도(15)의 소금(대조구), 된장, 간장 및 고추장을 염지액의 2% 수준으로 첨가시켜 70℃에서 8시간동안 건조하였다. 수분활성도는 0.79-0.88의 범위를 만족하며, 처리구에서 대조구인 소금 첨가구에 비해 높은 수분활성도 값을 나타내었다(p<0.05). 수분함량 또한 22.98-28.87%의 범위를 보였으며, 된장과 간장 첨가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수분함량 값을 나타내었다(p<0.05). 육색 측정 결과, 된장, 간장 및 고추장 첨가구에서 대조군보다 낮은 명도 값을 나타내었고, 적색도는 대조구와 고추장 첨가구에서 된장 및 간장 첨가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05). 전단가 및 조직감 측정 결과,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낮은 전단가를 보였다. 경도 또한 대조구인 소금 첨가구에서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관능평가 결과, 소금을 첨가한 대조구가 6.25로 가장 높은 염도 값을 나타내어 전통장류로 대체 시 소비자들이 느끼는 염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향 및 조직감에서 간장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획득하였다(p<0.05). 이러한 결과는 종합적 기호도로 이어져 간장을 첨가한 육포가 소금과 된장 및 고추장을 첨가한 육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선호도 값을 획득하였다(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