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강원도 홍천군의 한우 거세우 3,926두의 도체등급판정 성적과 부분육 수율 조사자료를 이 용하여 도체등급판정과 관련된 형질들(도체중, 등지방두께, 등심단면적, 마블링 및 육량지수)과 부분육 생산관련 형질들(부분육 중량과 수율, 지방중량과 비율, 뼈 중량과 비율) 사이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의 도축일령과 도체중의 평균치는 각각 952.53일과 454.58㎏이 었으며, 부분육 수율, 지방율 및 뼈율의 평균치는 각각 61.69%, 26.54% 및 11.77%였다. 도체중은 부분 육 중량, 지방중량, 뼈 중량 및 지방율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부분육 수율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등지방두께는 부분육 수율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그리고 지방율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등심단면적은 부분육 수율 및 지방율과 모두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마블링은 부분육 수율과의 상관 계수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는 작은 -0.01이었으며 지방율과의 상관계수가 유의성은 인정되었지만 작 은 크기의 양수인 +0.04였다. 육량지수는 부분육 수율 및 지방율과의 상관계수가 비교적 큰 크기의 +0.51 및 -0.57로 나타났다. 상관계수의 크기를 가지고 비교했을 때, 5개의 도체등급관련 형질 중 도 체중은 부분육 중량, 지방중량 및 뼈 중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육량지수는 부분육 수율과 지방율 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체중에 대한 부분육 중량과 지방중량의 단순 직선회귀 계수는 각각 +0.562 및 +0.364㎏, 그리고 육량지수에 대한 부분육 수율 및 지방율의 단순 직선회귀계 수는 각각 +0.341 및 -0.445%로 나타나서 도체중이 1㎏씩 증가할수록, 도체에서 회수되는 부분육 중 량이나 지방중량은 각각 0.562㎏ 및 0.364㎏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육량지수가 1% 증가할수록 도체를 구성하는 부분육 비율은 0.341% 증가하고 지방의 비율은 0.445%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4,500원
        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선편이 버섯의 유통 시 포장실태 및 관능적 품질을 파 악하기 위하여 2009년 1월~10월에 계절별로 수도권 인근 의 대형할인마트를 직접 방문하여 신선편이 버섯 제품 총 51종을 수집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신선편이 버섯은 혼 합형과 단독형으로는 느타리버섯, 팽이버섯은 송이채 다듬 어지거나 큰느타리버섯, 표고버섯은 슬라이스나 다이스 절 단되어 바로 조리(튀김, 볶음, 전골, 육개장, 찌개 등) 에 사 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대부분이 알루미늄이나 PS, PET, nylon 등을 재료로 한 용기에 담겨 PVC 랩이나 견고한 PP, PS 덮개 형태로 포장되었으며 89%가 제조일이나 유통 기한을 표시하였다. 수집된 신선편이 버섯 제품의 관능학 적 품질 조사 결과, 갈변 발생이 심한 것이 10%, 이취 발 생이 심한 것이 4%를 차지하였으며 전체적 품질은 90%의 제품이 판매 가능한 수준이었다. 계절에 따른 관능학적 품 질에 차이를 보여 가을과 겨울에는 상품성이 높게 유지되 었으나 봄과 여름에는 갈변이나 이취 발생 억제를 위한 신 선도 관리에 유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