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ims] Lentinula edodes (Berk.) Pegler has many commercial strains both morphologically and physiologically similar to each other. At present, detection of polymorphism in rDNA-IGS region (Babasaki, 2006) and/or RAPD marker (Zhang and Molina, 1995) is generally used for strain typing of L. edodes. However, it is rather time-and-cost consuming. Inter-retrotransposon amplified polymorphism (IRAP)-PCR method mainly used for horticultural crops takes less time and lower in cost in strain typing (Kalendar et al, 1999). In this study, we designed IRAP primers for L. edodes and verified their strain typing efficiency. [Method] Thirty three strains were provided for this study. Either fungal cultures on PDA or fungal tissues of fruit bodies were cut into approximately 4 x 4 x 4 mm. Total DNA of each samples were extracted by DNeasy Plant Mini Kit (QIAGEN). For PCR, IRAP primer set and Pfu-X polymerase (greiner) were performed. Based on LTR (Long Terminal Repeat) sequence in L. edodes, we designed one set of primers amplifying the regions between retrotransposons. Ampricons were electrophored for 50 min at 100 V on 1.7 % agarose gel with GelRed (Biotium) and evaluated under UV irradiation. [Results] The products obtained by IRAP-PCR were determined using mini-gel electrophoresis system. The band patterns of IRAP-PCR products differ among strains except the ones having the same parental cultivar. The detected bands were bright and clear without smearing. The IRAP-PCR products of fungal cultures on PDA and correlating fungal tissues of fruit bodies showed the same band pattern, suggesting that the procedure is highly reproducible. Thus, it is considered that IRAP-PCR with short ranged (ca. 1 kb) electrophoresis is a time-efficient and practical strain typing method of L. edodes.
        3.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의 캘러스를 대상으로 Tos17 활성 증가를 이용하여 새로운 돌연변이체의 유발 및 선발에 대한 연구는 많이 시도되어 왔다. 일품벼에서 배양된 캘러스를 이용하여 배양기간 및 배양조건에 따른 retrotransposon(Tos17)의 활성화를 유도함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하고, 이에 따른 재분화 개체를 통하여 다양한 돌연변이체(M1)를 얻음과 동시에 세대의 진전에 따른 돌연변이체(M2, M3)가 나타내는 표현형과 Tos17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여 특정 유전자의 cloning을 향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 본 연구에서는 배양기간에 따라 총 371개체의 M1 돌연변이체를 얻었다. 2. 각각의 배양기간 단계별 재분화 식물체에서 얻어진 Tos17의 활성정도를 나타내는 Southern blot의 결과 normal 즉, 기본 식물인 일품벼는 5개의 copy수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1개월 7개, 2개월 8개, 3개월 9.5개, 5개월 12개, 6개월 6개, 7개월 13.5개, 8개월 17.5개의 band를 확인할 수 있었다. 3. Tos17의 Southern blot의 결과, 3~5개월의 배양기간이 경과해야만 기본 copy의 2배수로 Tos17이 활성화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M1돌연변이체의 세대진전을 통하여 M2, M3 세대 등의 다양한 재조합 개체의 확보 및 분석이 중요하다. 또한 다양한 형태로 원하는 돌연변이를 선발하는 screening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