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Aging reduces cognitive abilities, including visual memory (VM) and visual discrimination (VD). Since common cortical networks subserve eye movement and attention, voluntary eye movement may improve visual attention. Visual selective attention was major role for memory, and visual memory and visual attention are intimately related. Objective: To identify the improvement in VD and VM, after implementing the eye movement program consisting of saccadic eye movement (SEM) and pursuit eye movement (PEM) in the institutionalized healthy elderly.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e study involved a sample of 36 participants, and the mean age was 79.03 years (range 76~84 years). They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16) and control group (n=20).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SEM 5 times per week for 4 weeks: twice daily at the same time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The program was carried out for 3 minutes, and it consisted of SEM and PEM. The target’s moving frequency was set at 0.5 Hz. VM and VD at the baseline and post-intervention were measured using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4 (MFVPT-4). Results: VM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p < .01),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 < .01).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VD. Conclusion: The eye movement program consisting of SEM and PEM increased VM more than VD. Therefore, eye movement program was feasible interventions for improving VM in institutionalized elderly persons.
        4,000원
        2.
        201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반응 복잡성 효과는 수행해야할 동작반응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시간이 길어지는 현상으로, 반응시간의 지연이 반응 계획 단계에서의 중추적인 처리과정의 지연에 의한 것이 아니라 복잡한 동작수행과 관련된 운동명령의 신경전달과 근육의 수축과정의 지연에 의한 것이라는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약 안구 운동을 통해 말초적인 전달과정의 지연효과를 최소화하고 좌우 30도 수평 도약 안구 운동 과제를 통해 도약 안구 운동의 수를 1도약과제에서 4도약과제까지 증가하여 반응 복잡성의 증가에 따른 반응시간과 안구 운동의 운동학적 변인들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학에 재학중인 10명의 남학생이 반응 복잡성이 다른 4조건(1도약, 2도약, 3도약, 4도약)의 도약 안구 운동을 수행하였고, 매 시행 도약 안구 운동 자료는 EOG를 통해 수집되고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도약 안구 운동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시간이 증가하였으며, 반응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계획단계에서 반응요소를 계획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를 야기하는 반응 복잡성효과를 재확인한 결과이다. 또한 1차 도약안구 운동의 운동학적 변인들(운동시간, 최대속도, 최대속도시간)는 1도약안구 운동과 다른 3조건들 간에 서로 다른 운동학적 수행 패턴을 보여, 도약 안구 운동수의 증가에 따라 단순히 1도약 안구 운동이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더 효율적인 동작으로 재구성되어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