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 위기가구 사회보장수급권의 법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도출이다. 내용분석 방법으로 「북한이탈주민법」을 대 상으로 사회보장수급권의 실체적 및 절차적 권리 실태를 분석하였고, 그 분석을 토대로 북한이탈주민 위기가구 사회보장수급권의 개선 방안을 도 출하였다. 분석결과, 북한이탈주민 위기가구를 위한 사회보장수급권은 실 체적 및 절차적 권리 모두에서 부재하였다. 분석결과는 북한이탈주민 위 기가구 사회보장수급권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이 시급함을 시사한 다. 「북한이탈주민법」에 ‘북한이탈주민 취약·위기가구’ 정의 신설, 특별 지원대상에 ‘취약·위기가구’ 추가, 기본계획에 ‘보호대상자 중 취약·위기 상황에 관한 사항’ 신설과 같은 법률 개정, 북한이탈주민 취약·위기가구 발굴체계 개선을 위한 발굴대상의 범위 및 발굴주체의 범위 확대, 북한 이탈주민 취약·위기가구 보호기간 연장 등을 제안하였다.
        6,300원
        2.
        202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China has published the “Security Assessment Measures for Outbound Data Transfers,” a crucial regulation on outbound data flows. This regulation contains strong national security considerations and produces independent and direct legal effects compared with other assessment systems in China’s laws.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conflict arises between these measures and the international commitments made by China due to the ambiguity in how "critical data" is defined, the excessive emphasis placed on self-risk assessment, and the arbitrary extension of procedures. Particularly, with China's current application to join the CPTPP, the restrictive measures of its cross-border data flow may appear to violate the obligation of CPTPP, but may be justified through CPTPP’s exception clauses. In light of this, it is necessary for China to adopt a more modest approach to balancing data security with the effort made to promote the flow of cross-border data.
        4,900원
        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security service provides customers with the capability of protecting the networked information asset and infrastructures, and the scope of security service is expanding from a technology-intensive task to a comprehensive protection system for IT environ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is service, a research model which help assess the quality is required. Several research models have been proposed and used in various service areas, but few cases are found for IT security service. In this work, a research model for the IT security quality has been proposed, based on research models such as SERVQUAL and E-S-QUAL. With the proposed model, factors which affect the service quality and the best quality measure have been identified. And the feasibility of using quantitative measures for quality has been examined. F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variou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 shows that satisfaction is the most significant measure affected by the proposed quality factors. Two quality factors, fulfillment and empathy, are the main determinants of the service quality. This leads to a strategy of quality improvement based on factors of emotion and perception, not of technology. The quantitative measures are considered as promising alternative measures, when combined with other measures. In order to design reliable quantitative measures, more work should be done on target processing time and users’ expectation. It is hoped that work of this research will provide efficient tools and methods to improve the quality of IT security service and help future research works for other IT service areas.
        4,000원
        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 세계적으로 범죄율 감소를 위한 방범기술에 대한 관심도가 높으며, 특히 국내의 경우에는 방범 App과 CCTV구축사업이 국가중점사업으로 전국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범죄 검거율 저조 등의 효과 미비, CCTV 관제요원의 모니터링 업무 과부하 등으로 인하여 지능형 방범기술의 필요성은 높아져 가고 있다. 하지만 기술검증의 문제로 인하여 실제 지자체에서는 지능형 방범기 술 활용이 어렵다. 또한 성공적 범죄예방을 위해서는 국내 다양한 법제도적 제약 극복, 시민들과의 피드백, 관계기관들과 협력 등의 기술검증 이외 사항들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시민들이 거주하는 실제 환경에서 기술을 테스트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실증지 구의 구축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차후 기술의 사업화/상품화에도 유리한 측면이 있다. 성공적 실증지구의 구축을 위해 그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실증지구의 선정기준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R&D와 성격을 달리하는 “지능형 방범기술 R&D 사업”을 대상으로 실증지구의 선정 시 고려사항 및 기준들을 객관적으로 제시하여 차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실증지구 선정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