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에서는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 못한 대학생에게 한문구조를 교수 할 경우의 한 가지 학습방법으로서 전통시대의 초학교재를 활용하여 2자, 3자, 4자, 5자, 7자의 한문문장을 축자식으로 해독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특히 문장구조의 필수성분인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의 학습에 중점을 두고, 부속성분인 관형어, 부사어, 독립어는 문장의 확장정도로 제시하면서 문장의 기본구조를 학습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동아시아 세계의 전통 초학교재란 단순히 과거에 사용된 교재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전통’이란 과거를 재평가하고 재해석하면서 미래의 비전을 창조하기 위하여 재서술 되는 것이다. 현재의 곤란에 위기의식을 느낄 때, 인간은 과거를 돌이켜보고, 그 반사경을 통해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전망한다. 현재의 한문학습에서 느끼는 곤란함을 극복하고 새로운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과거에 사용하였던 교재들을 돌이켜 보는 것이다. 이런 위기의식과 위기 극복의 노력이 겹겹이 쌓여 갈 때, 한문학습의 새로운 역사가 전개될 것이다. 이 경우 한문학습의 역사는 결국 끊임없이 새롭게 만들어지는 ‘전통’에 근거하여 미래를 창조해가는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한문학습의 전통 안에서 사용되었던 초학교재는 교육의 근원적 자료로, 그 내용과 형식은 오늘날에 가져와도 손색이 없다고 생각되었다. 한문학습의 현재 상황을 살펴보면서, ‘전통교재’의 재해석, ‘전통교재’의 재평가, 혹은 ‘전통교재’의 한계점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본다.
        7,800원
        2.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yntactic priming effect is a tendency in which the syntactic structure used in the previous utterance tends to be carried over in the following utterance. The effects have been considered to help envisage the abstract process in mind into a more concrete idea and offered prospects for understanding the speakers' grammatical structu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is effect appears in Korean learners of Chinese, and whether the implicit learning effect emerges regardless of their proficiency(length of learning). Participants consist of two groups: less proficient learners with shorter length of learning (N=31) and more proficient learners with longer length of learning( (N=31). For the implicit learning effects, each participant took part in the experiment three times with an interval of fifteen day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yntactic priming effects have been observed. Also, the more salient implicit learning effects were observed in the group with longer length of learning(longer LOL) while the shorter LOL group has shown weaker effects. The results shed light on the universal tendency of syntactic persistence and gave implications that less-proficient learners who lack the cognitive prerequisite on L2 syntactic structures have some limitations on both the priming and implicit learning effects. The findings were complementary with the results of Park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