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mploys Harmonic Serialism (HS) to revisit phonologically conditioned suppletive allomorphy (PCSA) in Korean nominal suffixes. Multiple inputs and allomorph ordering has been suggested due to cases of allomorphy that phonological information alone has trouble accounting for. PCSA in Korean nominal suffixes provides another example, calling for both phonological and morpho-syntactic information. In particular, a special apparatus like Default (Bye 2007) or Priority (Mascaró 2007) is in need to select a marked or non-TETU allomorph as a preferred one over its unmarked or TETU counterpart. Drawing on previous works, the present study compares the analysis in classic OT with that in HS. It is shown here that the basic tenets of HS, gradualness and harmonic improvement, account for the phenomenon in a simple and natural way.
        2.
        201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목적은 달라피콜라의 ≪괴테 가곡≫을 음렬주의, 상징주의, 순환주의의 관점에 서 논의하는 것이다. 달라피콜라는 음렬을 작품 표현의 수단으로 생각하였으며 그 자체가 목 적은 아니었다. ≪괴테 가곡≫에서는 작품의 미학과 음렬 작법 사이에서 작곡자만의 독창적 스타일이 형성되는 과정을 엿볼 수 있으며 자유로운 음렬 작법 내에서도 ‘집성’을 통해 성립 된 일관성과 이를 체계적으로 발전시켜 성립된 순환주의를 목격할 수 있다. 상징적 가사, 이에 상응하는 음악적 구조와 기본 음렬을 다루는 방식은 각 악장에서 일관 성 있게 나타나며 이는 12음렬 연가곡에서 유기적 구조를 확립하는 달라피콜라 고유의 작곡 어법이라 할 수 있다. 순환동기로서 (012)의 중요성은 결코 간과할 수 없다. ‘질문’ 동기로 정 의되기도 하는 (012)는 12음렬을 대체하여 가사의 상징적 의미를 표현하며 악장의 도입부에 유기적으로 소개되어 악장간의 응집성을 강화시킨다. (012)가 반복되어 형성하는 ‘집성’ 또 한 중요하다. 이는 작곡자가 자신만의 어법으로 음렬을 대체한 것으로 선적, 수직적으로 완 성된 집성은 음렬 진술과 유사한 효과를 준다.
        3.
        201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compares two approaches to syllabification in Harmonic Serialism (HS): one as a distinct phonological operation and the other as a non-distinct operation. According to McCarthy (2007), GEN in Harmonic Serialism is confined to a single unfaithful operation at a time. If syllabification is a non-distinct and automatic operation, it can apply in a single pass to a series of segments (McCarthy 2009). However, if syllabification is treated as a distinct and separate operation (Elfner 2009), it has to take place sequentially, each syllable generated in a separate step just like other unfaithful operations such as deletion, insertion, or feature change. By adopting the framework of HS, this study considers an interaction between tensing, a feature changing operation, and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at syllabification in HS should be a distinct operation, confirming the argument of Elfner (2009), and that HS gives a better account of opacity in tensing than OT-CC does in terms of descriptive and explanatory adequ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