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는 자원이 부족하여 총 공급에너지의 95.8 %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신재생에너지의 개발과 합리적인 이용방안이 절실하다. 폐기물 에너지는 재생에너지 종류 중 하나로 가정이나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을 열분해를 통해 고형연료, 폐유 정제유, 플라스틱 열분해 연료유, 폐기물 소각열 등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어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그 중 고형연료는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인정된 생활폐기물(음식물류 제외), 폐합성수지, 폐지 등 가연성물질만을 선별・분리하여 제조한 연료로 현재 SRF(Solid Refuse Fuels) 와 BioSRF(Biomass Solid Refuse fuel)로 관리되고 있다. 폐기물 연료는 화석연료뿐만 아니라 바이오매스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부분적인 이산화탄소 중립연료로 간주될 수 있다. 특히 혼합된 폐기물연료를 소각하는 곳에서 배출되는 가스 중에는 바이오매스 기원물질을 제외 할 때에 비로소 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에너지 중 가연성폐기물을 원료로 한 고형연료제품 종류별 사용시설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포집하여 CO2 중의 생물학적 기원물질의 바이오매스를 14C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고형연료에 대한 분석을 SDM(Selective Dissolution Method)방법과 14C 방법으로 분석하여 비교하였고 배출가스에서의 측정․분석을 수행함으로서 폐기물에너지 사용시설에 적용 가능한 가장 적합한 측정․분석방법을 고찰해보았다.
        2.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업의 발달과 인구 증가로 폐기물 발생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폐기물 처리 방법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소각이나 매립으로 인한 2차 오염물질 발생, 한정된 매립부지, 보조연료의 필요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폐기물을 일정 모양으로 고형화하여 만든 폐기물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고형 폐기물은 연소가스의 발생 총량이 작고, 공해 발생량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고형 폐기물은 단독 연료로서 제약은 있지만 발열량이 높아 충분히 연료의 가치를 갖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는 보조연료로서 고형폐기물을 사용한다면 석탄의 단점을 보완해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활폐기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형 폐기물의 연소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연소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열 중량 분석법으로 연소실험을 시행하였다. 연소실험은 승온 속도에 따른 연소특성을 나타내었다.
        3.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ce the volume based tipping system was adopted for municipal solid wastes in Korea, the system has been well implied with the positive participation of households. Therefor local governments have started to apply the system to food wastes as well in recent years and each household has put an effort to reduce the generation of food wastes consequently. Another big movement on the management of municipal solid waste has been made, which was intending to utilize wastes to energy resources by converting to solid refuse fuel (SRF). In the meantime the conversion of biomass to energy became an issue to argument national renewable energy. Such motivation made an attempt to utilize fruit husks as SRFs since they has been used to dispose of as food wastes with the payment of tipping fee by households. Thus, in this study, five fruits (mandarine, apple, pear, sweet persimmon and grape) of 6 main consuming fruits in Korea were chosen as tested materials to check out any potentials of biomass SRFs.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5 fruit husks after drying naturally were analyzed. Heating values, proximate analysis results were reported and thermo-gravimetric tests were made for suggesting them to combustible wastes or bio-SRFs. The higher heating values of all fruit husks with natural drying showed above 3,000 kcal/kg which is the criterium of SRF and the lower heating values were less than SRF standard due to higher content of moisture. Proximate analysis and thermo-gravimetric data were similar to other biomass fuels like wood and municipal solid waste. It is concluded that such fruit husks could be used as SRFs by adopting an effective drying method in adv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