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김소월과 서지마의 애정시가 한국과 중국의 근대 문학사에서 서구 문화와의 충돌과 융합을 통해 독특한 질서를 형성하며 중요한 문학 형식으로 자리 잡았음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사랑, 이별 등의 감정 표현이 시 창작의 핵심이 되었음을 고찰하였다. 김소월과 서지마의 시는 사랑과 이별의 감정을 담고 있으며, 후기 낭만주의의 서정적인 감정 표 현을 보여준다. 그러한 양상을 보여주는 대표적 시집으로는 김소월의 『진달래꽃』과 서지마의 『지마의 시(志摩的詩)』가 있다. 두 시집에 담긴 작품들은 자연과 일상생활을 배경으로 진실하고 깊은 사랑을 표현한다. 비록 두 시인이 서로 다른 국가에서 활동했지만, 그들의 시에는 많은 유 사점이 존재한다. 두 시인은 혼란스러운 시대 속에서 창작 활동을 하였 으며, 사랑과 자유라는 주제에 천착했다. 또한, 개인적인 감정을 표현하 는 동시에 사회와 문화적 배경을 반영하였다. 본 연구는 김소월과 서지 마의 애정시를 비교 분석하여 두 시인의 사랑 표현 방식에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구하고, 그것은 그들의 작품과 그 배경에 있는 사회 문화적 요소들을 더욱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요한 통찰을 제공하기 위한 것 이다.
본 연구는 김소월의 「접동새」를 수용한 한국 창작음악을 분석하여 ‘한국어의 음악화 작업’ 나아가 ‘한국적 정서의 음악적 표현’ 방법을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 「접동새」 에서의 분행의 의미, 3음보 구성, 그를 통해 얻어진 점층형식 그리고 연쇄식반복은 설화라는 소재를 세심하게 의도된 적합한 형식으로 담아내는 방법이었으며, 그를 통해 미적 가치가 상승했음을 확인했다. 시 세부분석의 결과인 ‘소리-뜻’ 분석, 즉 접동새의 울음소리를 모방한 ‘접동’을 이루는 [ㅈ] 파찰음과 [ㄷ] 파열음은 폐쇄된 발음기관을 갑자기 개방해서 내는 소리이기에 탄식 과 억압된 정서의 분출을 담고 있다. 이는 전체 시 구성에서의 시상을 재 확인시켜 주었다. 이외에도 시 「접동새」에서 드러나는 혼철표기, 조사 ‘-에’의 사용, 이중모음 사용, 「접동새」에서 단 한 번 등장하는 구두점 ‘쉼표’를 통한 언어적 리듬도 전체 형식에서 보여준 시상을 강조하기 위한 것임 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은 시에 담긴 시상과 의미가 운율적 구조 그리고 전체 형식 등과 서로 상호적으로 잘 조화되었음을 확인시켜 준다. 시 분석에서 유추한 전체 구성의 점층형식과 연쇄식반복이 작곡가들의 작품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김소월의 시 구성에서의 점층형식은 작곡가들의 통절형식 가곡으로 구현되었다 (나운영, 정종열 등의 가곡). 예외적으로 조두남은 변형된 유절형식으로 「접동새」 가곡을 작곡하였지만, 3연과 4연을 시작하는 분행을 새로운 선율로 작곡하여 시의 점층형식뿐 아니라, 연쇄식반복 도 창작에 반영하였다. ‘죽음’을 의미한다는 내용을 작곡가들의 작품에 적용한 결과 음악적으로도 이에 상응하는 표현이 있음을 확인했다. ‘접동’을 노래하는 음형은 ‘죽음’을 내용으로 하는 텍스트에도 사용되어 ‘소리-뜻’ 분석 방법을 음악 작품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나아가 가곡들에서는 창작년도와 상관없이 ‘접동’ 또는 ‘죽음’을 4도 하행의 ‘접동 음형’으로 하고 있는 공통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음악에 서의 라이트모티브와 동일 선상에서 설명될 수 있는 것이다. 김소월의 시에 담긴 시상을 ‘소리-뜻’으로 연결하여 해석할 수 있었다면, 음악에서는 라이트모티브가 시상을 일관되게 표현하는 방법이었음을 확인시켜주었다.
본 논문은 W. B. 예이츠, 김소월, 그리고 김종길 등 3명의 모더니스트 시인들을 통해서 동서양이 시에서 자연을 어떻게 다루는지를 비교하고자 한다. 김소월과 김종길은 동양의 시학을 대변하고, 예이츠는 서양의 시학을 대변하는 것으로 읽는다. 그들은 각기 아일랜드와 한국의 모더니스트 시를 대변하는 시인들이다.
식민주의의 억압 하에서 예이츠와 소월은 문학과 민족의 정체성을 연계하여 민족정신을 다시 불러일으키려 한다. 두 시인은 신화와 민담에서 민족의 정신적인 근원을 찾아내고 이를 시에 담는다. 예이츠는 정신적 힘을 지닌 신화와 민담을 통해 아일랜드를 “상상의 공동체”로서 창조한다. 반면 소월은 신화와 민담에서 식민주의에서 고통 받는 민족의 고통을 실제적으로 환기시킴으로써 역설적으로 민족의 정신을 고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