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재의 표고버섯 시장 및 수급상황과 신선 표고버섯 생산을 위해 사용되는 접종배지의 영향력을 반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에 사용한 자료의 시간적 범위는 2000년부터 2022년까지의 연도별 시계열자료이다. 분석방법은 전대수를 적용한 선형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수요의 가격 탄성치는 –1.10%로 나타나 신선 표고버섯 가격이 1% 증가할 때, 수요량은 1.10% 감소하였다. 공급의 가격 탄력성은 비탄력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선 표고버섯 가격이 1% 증가할 때 공급량은 0.33%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차별성은 톱밥접종배지가 공급량에 미치는 영향과 최근의 소비시장의 상황을 반영한 모형을 추정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신선 표고버섯의 원산지 변경에 따른 경제적 효과분석과 톱밥접종배지 생산자에 대한 지원 정책 개발을 위한 정책실험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공급자(supplier), 중간공급자(distributor) 그리고 고객(customer)으로 구성된 2 단계 공급사슬에서 퇴화성 제품(deteriorating products)에 대한 중간공급자의 재고모형을 분석하였다. 문제 분석을 위해 공급자는 중간공급자의 수요 증대를 목적으로 중간공급자의 주문 크기에 따라 차별적으로 외상 기간을 허용하고, 최종 고객의 수요는 중간공급자의 재고 수준에 따라 선형적(linearly)으로 증가한다는 가정 하에 모형을 분석하였다. 중간공급자의 이익을 최대화하는 경제적 주문량 결정 방법을 제시하였고, 예제를 통하여 그 해법의 타당성을 보였으며,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퇴화율이 재고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Fashion is primarily based on adoption of trends by consumers in textiles, clothing, footwear, jewelry and art, inter alia. As fashion is based on human preferences, it is characterized by dynamic changes throughout seasons and years, short life cycles, low predictability and high volatility of demand and impulse purchases. In the dynamic environment of apparel markets, fashion firms aim at successfully forecasting both the desirability of new collections and the volumes of each item produced and released to the market under terms of substantial levels of uncertainty. When demand for an item exceeds its supply, the firm is likely to lose additional profits that could have been collected had a sufficient volume of this item been present in the market. Alternatively, if the supply of an item surpassed its demand, it would remain unsold, thereby generating loss equal to its marginal production and distribution costs.
The paper proposes a forecasting model that enhances the accuracy of fashion trend forecasting in the context of multiple variants of colour clothing. The model aims at maximizing profits of the firms, while minimizing the forecasting error and reducing the costs that result from excess capacity of production or, alternatively, from loss of potential revenues due to low demand.
본 연구는 공급자(supplier), 중간분배자(retailer/distributor) 그리고 고객(customer)으로 구성된 2 단계 공급사슬을 대상으로 공급자가 수요 증대를 목적으로 중간분배자에게 일정기간 동안 제품대금에 대한 지불 연기를 허용한다는 가정 하에 중간분배자의 최적 재고정책 결정을 위한 재고 모형을 다루었다. 소비성 상품의 경우, 고객의 수요는 일반적으로 상품 진열대에 진열되어있는 상품의 재고량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들어 지구온난화와 기상조건의 변화로 기후의 변동폭이 증가하면서 극심한 가물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 개발된 용수원의 수질 오염, 물 분배에 관한 상류지역의 반대 및 지방자치단체간의 수리권 문제 등도 상류지역으로부터의 맑은 수자원 확보를 필요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용수공급 관리 방안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각되고 있으며, 수도권의 용수수요 변화에 대한 북한강 유역 댐의 용수공급 능력에 대한 적절한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