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mainly investigates the life and thoughts of the three Korean theologians (i.e., SungBum Yun, TongShik Ryu, and SunHwan Pyun), who tried to make Korean and/or contextual theology. SungBum Yun (1916-1980), who regarded “Revelation” as the main content of the Gospel, offered the Confucian concept of “Sung” ( , sincerity) 誠 as the replacement for the Western theological notion of revelation for the Far East Asians who live in the Confucian cultural context. The main contextual theological concern of TongShik Ryu (1922-the present) has changed or developed from religions in Korea (1960s), Shamanism (1970s) to PungRyu (풍류, 1980-90s), and then Ryu is more recently interested in YeSul(예술, Art or Beauty) theology. The Korean theology of SunHwan Pyun (1928-1995) is generally called “ToChakHwa (토착화),” which means “contextualization” or “Religious Pluralism” in Korea. Pyun paid attention to the religious pluralistic context in Korea, and he asserted that Korean Christianity should overcome three aspects (i.e., the Western prejudice toward other religions, Ecclesiocentricism, and the exclusive absoluteness of Christology) of Western Christianity. The three figures might be Koreanized theologians in that they dealt with the Koreans’ cultural and spiritual mind through various ways such as Korean traditional religions.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they were authentic contextual theologians, because they ignored the Hanful (suffering or oppressed) social situation as well as the need and tradition of most Korean churches. Thus, an authentic Korean and/or contextual theology must meet the demands of people’s cultural, traditional, spiritual and religious mind; socio-politically and economically variable situation; and Korean churches; under the guidance of Triune God.
        6,400원
        2.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에서 필자는 로버트 스타인이 신학자들의 난제라고 말한 마가복음 4장 11-12절을 새롭게 해석하려고 한다. 마가복음 4장 11-12절에서의 예수의 언급은 분명히 반어법적인 진술인데, 국내외의 신학자들은 한결같이 이 진술을 문자적 의미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래서 이 진술이 그들에게 난제로 남게 된다. 예수가 마가복음 4장 12절에서 이사야서 6장 10절을 인용하고 있기 때문에, 먼저 이사야 6장 10절의 문맥을 살펴서 문맥과 반대로 표현된 이 구절이 반어법적 진술임을 밝힌다. 그 다음에는 마가복음에 나오는 예수의 언급도 문맥과 반대로 진술된 것임을 밝힌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이사야서의 반어법적인 진술을 인용한 마가복음의 진술이 반어법적 표현인 것이 확연하게 드러난다. 그 결과 반어법적 진술을 문자적으로 받아들인 신학자들에게 오류가 있다는 사실이 분명해진다. 간단히 말해서, 신학자들이 마가복음 4장 11-12절을 해석할 때 어려움을 겪는 것은 그들이 이 성경구절이 반어법적 진술인 점을 모르기 때문이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