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terial diversity based on the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analysis of PCR-amplified 16S rRNA gene sequences was determined for soil samples from two abandoned mine sites and the corresponding enrichment cultures using soil sample as
이 연구에서는 문과와 이과라는 두 문화를 중심으로 예비과학교사의 정체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한 교원양성기관의 생물교육 전공 학생들 17명이며, 이들은 과거 고등학교에서 이과를 선택하기까지의 개인적 경험과 지금의 자신의 이공계인으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자신의 이야기를 서술하고 이에 대해 토론하였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서술된 이야기들은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토대로 연구자 2인에 의해 분석되었다. 참여자들이 지금까지 살아온 이야기 속에서 이과를 선택하게 된 배경은 매우 다채롭게 나타났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참여자들의 경험 속에 문과와 이과의 두 문화의 체계는 매우 견고하게 다가왔으며, 이 때문에 문·이과 체제 자체에 대한 비판적 고민보다는 정해진 두 선택지 중 자신은 어디에 더 적합한 사람인지 고민하고 계열을 선택했음이 드러났다. 이과를 선택한 이후 큰 의심 없이 자신을 이과인으로 생각하고 정의해오던 그들이지만, 생물교육을 전공하면서 경험한 다양한 분야의 학문과 두 문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생각을 반성해보게끔 했다. 이 연구를 통해 참여자들은 자신의 살아온 이야기들을 함께 공유하며 현재 자신의 정체성을 되돌아보았으며, 문·이과라는 두 문화와 관련된 정체성을 재구성 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 과학교사들이 향후 보다 두 문화에 대한 보다 유연한 관점으로 다채로운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도록 돕는 과학교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search for a meta-theoretical foundation to an integrated Korean studies. Without its own target and methodology, it will be difficult for Korean studies to be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 In particular, the antagonism of the ‘Two Cultures,’ referring to the juxtaposition between humanities and the sciences, has been reproduced into a humanities-based ‘National studies’ (‘國學’) and a social science-based ‘Korean studies’ (‘韓國學’), and is acting as a factor preventing a more holistic perspective of Korean society. Such division originated from the modern academic disciplinary structure systemiz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but was then deepened by the path dependency of the division system and the external dependency of the Korean academia. Under this context, this paper seeks to graft critical naturalism of Marx and Durkheim, who envisioned unified science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before separation into modern academic disciplines took place, to the attempts to alleviate the ‘Two Cultures’ and thereby project an integrated Korean studies. Critical naturalism of the two thinkers – in particular, their relational social paradigm and theory of explanatory critique – proposes a third way that resolves the dichotomies between society and people, science and philosophy, nomothetic and idiographic methods, and facts and values, thus positioning itself as a paradigmatic basis for unified knowledge that overcomes the antagonism between hyper-naturalist positivism and anti-naturalist humanities. Moreover, the critical naturalism of the two provides the possibility of depth-explanatory human sciences that integrates the historicity and the scientificity of a divided society as well as abundant philosophy of science resources to promote a more complete Korean studies that encompasses both the South and the Nor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