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은 고유한 생태적지위를 가지고 있고 생태적지위는 물리적인 환경요인 만으로 설명할 수 없고 공간적인 개념을 포함하여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양한 생육지를 포함하여 조사하고 생육지의 질적인 측면을 평가에 고려하는 것은 중요하다. 함안, 의령 및 질날늪 일원에서 총 21회(22일)에 걸쳐 출현식물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로 139과 447속 826종 13아종 53변종 2품종 894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함안 지역에서는 127과 385속 642종 11아종 45변종 1품종 699분류군, 의령 지역에서는 130과 384속 657종 10아종 43변종 2품종 71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남강의 지류 습지인 질날늪 일원에 대한 조사로는 102과 289속 455종 9아종 24변종 1품종 48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은 세뿔투구꽃과 가시연이 조사되었고 고유종으로는 1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 Ⅴ등급 4분류군, Ⅳ등급 1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을 포함한 주요 식물은 대부분 소규모 분포지를 점유하였고 개체수도 적었다. 조사지역의 습지에서 핵심적인 식물은 가시연으로 평가되는데 최근 종자의 공급원이 훼손되었기 때문으로 평가되었다. 외래식물은 총 98분류군이 조사되었고 귀화율은 10.96, 도시화지수는 15.88이었다. 생태계교란 식물은 환삼덩굴,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가시박, 도깨비가지, 가시상추, 양미역취, 물참새피 9 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단풍잎돼지풀은 비교적 최근에 확산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가시박은 남강 주변에 걸쳐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조사지역에서 환삼덩굴, 칡 및 외래식물의 확산에 따라 식물다양성이 높다고 평가되는 가장자리 공간이 축소되 는 추세였다. 따라서 향후 지역적으로 식물다양성의 감소가 예상되었다.
        8,600원
        2.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의령군 남강하류 하천변의 식물상과 외래식물의 분포현황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식물상조사는 3구간(Ⅰ: 장박교∼정 암교, Ⅱ구간: 정암교∼백곡교, Ⅲ구간: 백곡교∼낙동강 합류지점)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조사지에서의 관속식물은 95과 279속 405종 1아종 38변종 7품종 451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양치식물은 7과 11속 14종 1변종 15분류군, 나자식물은 5과 7속 8종 8분류군, 피자식물은 83과 261속 383종 1아종 37변종 7품종 428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쌍자엽식물은 73과 200속 287종 1아종 23변종 7품종 318분류군, 단자엽식물은 10과 61속 96종 14변종 110분류군이 출현하여 피자식물이 약 95%로 가장 많은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희귀식물은 8과 8속 8종 8분류군으로 검팽나무, 낙지다리, 새박 등이 출현하였고, 한국특산식물은 2과 3속 4종 4분류군으로 은사시나무, 키버들, 능수버들, 오동나무 등이 출현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30과 38속 37종 2변종 39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일년생식물은 27분류군, 일년생식물(겨울형)은 17분류군, 지중식물은 4분류군, 반지중식물은 14분류 군, 지표식물은 3분류군으로 관목은 1분류군과 대교목 2분류군 이었다. 침입외래식물은 19과 54속 66종 2변종 68분류군으로 닭의덩굴, 소리쟁이, 큰석류풀 등이 출현하였고, 귀화율 약 15.1%, 도시화지수는 약 19.8%였다. 생태교란식물은 4과 7속 8종으로 8분류군이 출현하였다.
        6,000원
        3.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comprehends that the landscape of Ipsan Village is the accumulated output of the landscape management and social behavior by the historic personages through the reference research and field surveys. And the study sorted out the over-layere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Ipsan Village by analyzing the dispersed landscape elements as follows. First, right before the start of Japanese invasions to Korea(1592–98), Tamjin(耽津) An(安) Family moved into Ipsan and started establishing the a single clan village. At a site with mountain background and facing the water(背山臨水), the village used to be a typical farming one with an organically planned road-system and housing area following the traditional order. However, the landscape has changed drastically since the 20th century with the construction of banks, roads and readjustment of arable land etc. Second, the original landscape, which can be figured out through the ‘Gosanjaesibyukgyeong(高山齋十六景)’ in the 18th century, shows its harmony with natural landscape: mountain & valley, stream & field, traditional trees, etc, cultural landscape: village, well, spring, etc, and momentary landscape: seasons, time, weather phenomena, sound, behavior, etc. Third, based on the second, 16 natural landscape elements: mountain & stream, planting, etc. and 25 cultural landscape elements: housing spaces, self-cultivation & ceremony spaces, community spaces and modern education & enlightenment spaces were selected and interpreted as landscaping meanings. Fourth, the over-layered landscape which stems from the compositive functions and inter-connectivity of landscape elements which consists Ipsan Village is regarded as ‘Natural geographical and Fungsu landscape’, ‘Rural production and livelihood landscape’, ‘Confucian ceremony and symbolic landscape’ and ‘Modern education and enlightenment landsca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