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상용화에 앞서 도심 내 항공 교통수단 관련 산업에 대한 연구개발 중요성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도심항공모빌리티(UAM)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핵심 항공 이동 수단 비행체인 개인용 항공기 (PAV) 기체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탑승자 관점의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PAV는 탑승 자의 새로운 생활공간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탑승자의 실내행위를 지원하는 실내공간 설계를 위해서 는 PAV 기체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요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PAV의 공중 운항 특성으로 인해 인체에 영향을 주는 제약 요소를 도출하고, 이러한 제약 요소가 실내행위를 수행하는 탑승자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 항공 이동 수단 비행 기체 PAV 는 4,000ft 이하에서 운항해야 하는 기준에 따라, 운항고도에 따른 제약 요소는 소음, 진동, 저주파 운동에 의한 멀미 로 나타났다. 이러한 제약 요소가 실내행위에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에서 PAV에서 행할 수 있는 실내행위를 자율주 행 자동차, 비행기, PAV 컨셉 사례를 활용하여 도출하고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수준을 고려하여 실내행위 지원을 위한 제약 요소 권장기준을 설정하였다. 또한 실내행위 지원을 위한 제약 요소의 인체 영향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 서는 시트의 형태 및 내장기능(진동 저감 기능, 온도조절, LED조명 등), 개인 좌석별 지향성 스피커를 활용한 외부소 음 감소, 소음과 진동 감소를 위한 내장재 등을 실내공간 설계에 반영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PAV 실내행 위에 영향을 주는 제약 요소를 도출하였고, 인체에 미치는 영향 수준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PAV 실내 설계 시 기초 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5,200원
        2.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건강에 대한 중요성과 함께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신선한 식재료의 확보 및 친환경 식단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농작물을 직접 재배하여 먹는 도시민들이 늘어나고 있다. 도시 농업은 가족과 함께 건전한 여가생활을 즐기고, 재배하고 수확한 채소나 과일을 이웃에게 나눠주며, 친목을 도모하고 소통하면서 건강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농업 활동으로 안전하고 신선한 친환경 식단과 식재료를 확보하여 도시민들의 건강증진에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지속가능 한 친환경 농업을 추구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도시농업 활동은 회사원으로 4인 가족, 아파트에 거주하며, 어린 시절 10년 이상 농촌경험이 있는 도시민들이 가장 많았고, 주1회 주말 오 전시간에 1~2시간 이용하며, 3년 이상 도시농업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환경 먹거리 교육이 농작물의 수 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시농업활동에서 잡초제거의 어려움과 친환경 농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확 물의 종류와 질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확물이용으로 식단의 변화와 식재료비가 감소되고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도시농업 활동이 친환경 식단의 변화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확물을 친환경 먹거리로 이웃에게 소개할 수 있고 지 속적으로 도시농업활동을 하겠다고 답하였다.
        3.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친환경 도시농업을 통해 환경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효율적인 도시농업의 정착을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친환경 도시농업은 도시민들에게 부족한 자연생활이 가능하도록 하며, 친환경 먹거리에 대한 인식을 지각하고, 건강한 삶의 질 향상과 친 환경 인식 변화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친환경 도시농업을 체계적으로 관리, 육성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도시농업을 확산시키고, 긍정적인 환경보전 효과를 거두고자 한다. 도시농업 활동에서 도시민들이 친환경 농법의 교육을 통해 텃밭 조성 및 농작물재배방법이 이루어 졌고 농작물의 수확도 친환경적으로 이 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 농업에 이용하는 씨앗 및 모종도 친환경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경에 대한 인식변화에도 도 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의 중요성 지각을 통해 행동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답하였다. 도시농업활동을 친환경적이라고 이 웃에 소개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도시농업 활동에 참여할 것이라고 답하였다.
        4.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전업주부를 대상으로 원예활동이 스트레스 경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원예활동 전후의 자기감정, 다차원적 대처, 신체증상, 생활만족 및 가족 스트레스 평가를 실시하여 심리적 변화를 조사하였고 자율신경계지표를 사용하여 생리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대상은 G시 농업기술센터에서 운영하는 교육과정생 중 도시 주부 12명을 대상으로 주 1회, 3개월간 실시하였으며,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49.9세였다. 원예치료의 효과는 프로그램 시작 전, 후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4.0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하였고 동질성 검정은 x²-test와 t-test로 검정하였다. 도구의 신뢰도 검증은 Cronbach’ɑ값으로 하였으며, 자율 신경계 균형 검사 자료는 대응표본 T 검증(Paired T-test)로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감정상태 분석 결과 세부영역 중 상태 분노(F=8.820, p=.001**), 특성 분노(F=5.315, p=.31*), 특성 우울(F=6.318, p=.001**)에서 감소되어 향상된 결과로 유의성이 있었다. 생활만족도(F=25.263, p=.000**),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자율신경계 분석결과 맥박수(Pulse rate)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F=5.522, p=.000**), 교감신경의 지표 LF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지며 부교감신경 활동을 반영하는 HF 수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긴장이완과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갱년기 도시주부에 적용한 원예활동은 분노와 스트레스 등 정서적 영역의 안정과, 맥박 부교감신경의 활동을 증가시켜 심리적 생리적 안정의 효과 있는 것으로 타나났다.
        5.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도시소비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활동참가자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하여 향후 도시소비자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수정 및 보완에 활용하고자 충청북도 청주시 농업기술센터의 대회의실과 원예치료체험실, 시설하우스 등에서 주 1회 방문 시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2시간 동안, 오후 1시부터 3시까지 2시간 동안 1일 2회의 활동을 수행하여 2009년 3월 17일부터 6월 24일까지 총 12주, 총 24회 활동이 총 90명의 도시소비자에게 실시되었다. 본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 대한 결과는 참여동기로 ‘프로그램 자체에 흥미가 있어서’가 41.7%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정보습득경로는 ‘주위의 소개로’가 76.1%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프로그램 참여시 주요 고려사항은 ‘프로그램의 내용 및 방법’이 가장 높았고 본 프로그램 중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는 ‘꾸미기’가 60.6%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가장 만족스러웠던 활동은 총 응답의 27.4%가 ‘테라리움’이였고 가장 불만족스러웠던 활동은 ‘압화활동’이 6.8%로 나타났다. 이외 프로그램이 진행된 장소의 거리와 위치, 이용료, 수강기간, 진행요일, 진행시각, 회기별 시간, 참가인원, 진행요원 수, 강사, 참가자들의 태도, 시설 분위기, 재료 및 도구, 충실도, 교육수준, 사회적 교류 증가도, 여가활동 시간증가 정도, 전문지식 및 기술증가정도, 흥미정도, 지역내 농특산물 및 원예식물 구입 가계소비를 포함한 전체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가 47.8%, ‘보통이다’가 37.7%로 나타났다.
        6.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less favored areas, it is getting more difficult to manage Satoyama according to aging of rural residents and depopulation. Some support of urban residents are necessary for management of Satoyama. In this paper, the role of Satoyama management activities was clar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eature of activities for managing Satoyama.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surveys were done in order to clarify the actual conditions for management of Satoyama and activities of urban resi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NPO in Hyogo Prefecture.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1)The form of rural-urban exchange in Satoyama is different in each Satoyama. (2)The urban residents are contributing to the region very much on both sides of the manager and the visitor in Satoyama. (3)Many urban residents visit Satoyama for the purpose of enjoying the variety of nature and culture programs in rural area. (4)There are some urban residents who participate in activities for managing Satoyama even if Satoyama is far from their residence. So it is important for rural residents to arrange the condition that they can visit rural area without difficulty.
        7.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ick-up/delivery of consumer goods to offices, shops, and restaurants in order to support urban lives is one of the most vital activities in a city. With economic growth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 greater variety of goods have come to be supplied, and pick-up/delivery of consumer goods has become more complex. Efficient urban goods movement in Central Business District(CBD} starts with an efficient system for loading/unloading, and pick-up/delivery activities. Loading/unloading activity may be carried out on-street, or on especially designated space inside or outside buildings. Therefor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ty the efficient urban goods movement in CBD(also called the pick-up/delivery activity) from the three different types of loading/unloading facilities. For this purpose, the differences in loading/unloading and truck-trip activity time of each loading/unloading facility was compared by performing the simulation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