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에서는 베트남전쟁 60주년을 맞아 그동안 조명받지 못했던 한미 해병대의 연합작전인 배리어상륙작전을 분석하였다. 배리어상륙작전은 선견부대 미운용, 상륙철수 시 혼잡 발생, 게릴라전에 매몰된 연합군이 작전 시 상륙작전의 효용성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 점 등의 미흡한 점 이 식별되었다. 그러나 한국 해병대 청룡부대 주도로 전개되었던 배리어 상륙작전이 갖는 전략적 의의와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이안지역 평정작전을 통해 베트남 1번 국도를 완전히 통제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하였다. 둘째, 한국군 주도로 상륙작전 계획을 수립하고 성공적으로 작전 을 수행함으로써 한국 해병대의 존재 가치를 입증하고 연합 상륙작전 수 행에 대한 자신감을 함양할 기회가 되었다. 셋째, 배리어상륙작전을 통하 여 한미 해병대 간 군사적 유대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였다. 넷째, 전시 지역 평정작전과 안정화 작전 수행 시 상륙작전이 유용함을 입증하였다. 배리어상륙작전은 6·25전쟁 이후 최초로 한국 해병대 주도로 실시된 연 합 상륙작전으로 상륙작전의 효용성과 융통성 그리고 충격력을 충분히 입증해 준 작전이었다. 또한 상륙작전이 미래 전장 환경에서도 충분히 융통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국군은 다양한 환경하에서 상륙작전을 전개하기 위한 교리개발과 교육훈련이 요구되며, 한국 주도 의 연합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충분한 역량을 갖출 필요가 있다.
        7,000원
        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베트남전쟁기 게릴라 화가들의 활동을 추적하기 위해 먼저 베트남 근대미술 의 형성과 베트남전쟁기 저항미술이 나타난 경위를 고찰한다. 전쟁에서 경험할 수 있는 폭력적인 참상에도 불구하고 게릴라 화가들은 적에 대한 적개심보다 근거지에서의 평범 한 일상을 표현하는데 주력했다. 게릴라이자 화가였으므로 옻칠회화나 유화보다 연필이 나 펜으로 그린 스케치와 수채화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 드로잉들은 거의 일기와도 같은 것이었다. 전쟁의 현실을 직접적으로 그려낸 이 드로잉을 통해 게릴라화 가들이 파악하던 베트남전쟁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는 소중한 참고가 될 것이다. 또한 자신들이 겪고 있는 현실을 미화하거나 과장하지 않고 표현했다는 점도 중요하다. 이 논문의 의의는 베트남 근대미술과 저항미술의 형성과정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베트남전쟁기 게릴라 화가들의 활동과 작품을 고찰한 것에서 찾 을 수 있을 것이다.
        8,000원
        3.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veracity of deployment of the North Korean psychological warfare unit to the Vietnam War and its activities. With the South Korean troops as its target, North Korea deployed over a hundred psychological warfare troops every year, beginning with the first unit of four dispatched in June of 1966. The North Korean psychological warfare unit produced and distributed propaganda leaflets and materials; taught the Vietcong the Korean language and means to abduct South Korean troops; operated Korean-language broadcasts; and conducted data investigation and radio monitoring. The most noteworthy of said activities was the distribution of propaganda bills. An analysis of fifty-eight propaganda bills collected at the time demonstrates forms as diverse as writing, photographs, drawings, and a combination of writing and photographs (or at times writing and drawings). The contents involved propaganda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r, instigation of anti-American and anti-government struggles, stimulation of nostalgia and decline of morale, and inducement of defection to North Korea. The illumination of North Korean participation in the Vietnam War is a crucial facet of better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the Vietnam War in contemporary Korean history as well as the security conditions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1960s and the 1970s. Essential will be ongoing research on the North Korean involvement in the Vietnam War, a subject that has remained relegated to the sidelines thus f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