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적 밝기 변화 패턴이 포함된 시각 자극을 이용한 동공 빛 반사 기반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을 그 목적으로 한 다. 동적 밝기 변화 패턴(휘도 0과 255 사이의 변화)의 시각 자극 10종을 개발하였고 3초 동안 시각 자극 패턴 변화를 응시 하는 태스크를 통해 동공 반응을 측정 및 분석했다. 하나의 trial은 10종의 시각 자극이 한 번씩 무작위의 순서로 제시되는 것으로 정의되었고, 전체 실험은 총 12 trials로 진행되어 각 시각 자극은 120회 반복되었다. 다섯 가지 딥러닝 시퀀스 모델 중 TCN이 가장 높은 성능을 나타내었고 10명의 실험 참가자에 대해 94.01±3.94%(56.64±6.01 bits/min)의 분류 성능이 확 인되었다. PLR은 사용자 학습 및 훈련이 요구되지 않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기술이고 다양한 시각 자극 패턴의 개발을 통 한 높은 확장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그 가치가 주목되는 기술로 판단된다.
        4,000원
        2.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mployed the eye-tracking metho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game players' visual attention on the game's GUI(graphic user interface) elements during game play. The genre of the game (shooting and driving games), the points of view of the game (1st person vs. 3rd person POV), and the game player's proficiency were taken into account to examine their effects on the game player's visual attention. A within-between subject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N=26). The results illustrate that the game genre was not a meaningful predictor for neither the frequency or the total duration of visual element per interface element. The point of view had a significant main effect on the game player's frequent change of their eye movement across different elements. The proficiency of game player's gaming skill significantly altered the game player's frequency and duration of visual attention. Proficient gamers were more efficient in distributing their visual attention across various elements of the GUI.
        4,000원
        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공정제어시스템과 같은 복잡한 시스템을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정보 디스플레이를 설계하기 위해 두 가지의 세부적인 설계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정보디스플레이에서 표현할 정보의 내용을 파악하고 조직화하는 문제와 그 표현할 정보를 시각적으로 잘 표현하는 문제로 구분이 된다. Ecological Interface Design (EID)는 두 문제를 다루기 위한 이론적 배경지식과 방법을 제공하는 정보디스플레이 설계의 틀이다. EID는 1990년대 초반에
        4,000원
        4.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unctionality such as instrumental skill is very important. Some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chemes focus on the fun, melody and rhythm. In this paper, we presents the music educational methodology that integrates music education with story-telling skill and fun of computer game. We focus on the human computer interface issues for learner's comfortableness. We review music and rhythm based game, and analyze them on the basis of user’s actual feeling, sound effect, visual effect, fun of the game. In our scheme, we present music composition and replay interface. Given a story with visual effects, learner will express his/her feelings for the story in the form of musical melody. We design the composition and replay interface using visual effects and sound effects using built-in sound fonts. It is realized that story makes learner focused more on the theme of music than instrumental skill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