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동적 밝기 변화 패턴이 포함된 시각 자극을 이용한 동공 빛 반사 기반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을 그 목적으로 한 다. 동적 밝기 변화 패턴(휘도 0과 255 사이의 변화)의 시각 자극 10종을 개발하였고 3초 동안 시각 자극 패턴 변화를 응시 하는 태스크를 통해 동공 반응을 측정 및 분석했다. 하나의 trial은 10종의 시각 자극이 한 번씩 무작위의 순서로 제시되는 것으로 정의되었고, 전체 실험은 총 12 trials로 진행되어 각 시각 자극은 120회 반복되었다. 다섯 가지 딥러닝 시퀀스 모델 중 TCN이 가장 높은 성능을 나타내었고 10명의 실험 참가자에 대해 94.01±3.94%(56.64±6.01 bits/min)의 분류 성능이 확 인되었다. PLR은 사용자 학습 및 훈련이 요구되지 않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기술이고 다양한 시각 자극 패턴의 개발을 통 한 높은 확장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그 가치가 주목되는 기술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nutrition and the permeability of functional plants by using cryogenic grinding technology. Barley sprouts, Curcuma longa L., Dendropanax morbifera LEV., Phellinus linteus were dried, ground and extracted in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Powder size of barley sprouts and Curcuma longa L. were about 50 μm and Dendropanax morbifera LEV. and Phellinus linteus were about 20 μm. Cryogenic ground of Barley sprouts preserved 18.27-124.65% of nutrients such as protein, ash, carbohydrate, beta carotene, minerals, vitamins. Cryogenic grinding powder of Curcuma longa L. show high nutrients retention rate of lipid and carbohydrate. Permeability was measured by Parallel Artificial Membrane Permeability Assay (PAMPA) to predict passive gastrointestinal absorption. Permeability of saponarin, which is marker compound of Barley sprouts, is 9.88 times higher in cryogenic grinding powder than ambient grinding powder. Curcumin permability is 3.1 times higher than ambient grinded powder. As a result, particle size, nutrition, protein digestion degree and permeability demonstrat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decreasing grinding temperature for the powders.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cryogenic grinding method had good suitability to increase functionality of plants, since it could minimize the heat generated while processing and effectively reduce the particle si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