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심루와 팔대수의 위상 및 경관구조 그리고 복원을 위한 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시도되 었다. 이를 위해 먼저 여러 경로를 통해 전승된 여주팔경의 형식과 내용, 그 변천과정을 논의하였으 며 궁극적으로는 청심루와 팔대수를 중심으로 한 원형경관의 형태와 구조 그리고 의미에 주목하였 다. 연구방법으로는 팔경시와 읍지, 과거 도면, 사진 자료를 분석하고, 현장 조사를 병행하였다. 그리고 정수영과 신익성의 회화 자료, 규장각 소장의 고지도, 일제강점기의 실측 자료 등을 검토하 여 청심루의 입지와 팔대수의 배치 및 숲의 우점종과 구조를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여주팔경은 국내 전래팔경 중에서도 그 기원을 추적할 수 있는 팔경이자 고지도에 경물명이 구체적으로 기록된 독보적 사례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여주팔경은 여강을 경관 회랑으로 형성한 연계경관적 속성을 지니며, 읍치팔경이면서 동시에 청심루를 중심으로 한 누정팔경의 성격을 내포하고 있음이 확인되 었다. 청심루는 넓은 조망 범위를 통해 여강을 대표하는 핵심 누정으로 기능하였으며, 팔대수는 청심루와 짝을 이루어 강변의 파노라마 경관을 형성한 중요한 요소였다. 고지도를 통해 드러난 여 주팔경의 배치는 여강 구곡의 성격을 지니며 조선 후기 지역 정체성을 반영한 상징적 경관으로 정 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청심루 평면의 형태와 규모 그리고 경내 식재된 회화나무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음은 복원을 위한 매우 고무적 성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 결과가 여주팔 경의 전승과 경관구조를 실증적으로 구명함으로써 청심루와 팔대수 복원시 학술적 근거를 제공하 고, 향후 여주지역 문화경관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