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출판된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8종에 수록된 굿거리장단의 강세 표기 방식을 분석하 고, 이를 전통 악보 및 명인 연주 음원과 비교하여 차이점을 도출하며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교과서에서는 굿거리장단을 A, B, C 유형으로 구 분하며, 각 유형별 강세 표기 방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특히, 교과서의 강세 표기는 전통 악보의 강세 구조를 충 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전통 악보에서는 '대삼소삼 (大三小三)'의 음양 구조를 반영하여 제1박과 제3박에 서로 다 른 강세를 부여하는데, 교과서에서는 이 강세 구분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아 학생들이 장단의 리듬적 본질을 이해하는 데 어 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명인들의 연주 분석 결과, 전통적 인 강세 구조가 충실히 반영되어 있으며, ‘대삼’과 ‘소삼’의 강약 구분이 명확하게 드러났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음악 교과 서의 강세 표기를 전통적 강세 구조에 맞게 개선할 필요가 있 으며, 특히 B 유형(다는 장단)과 C 유형(맺는 장단)의 강세 표 기 방식을 조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장단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실기 중심의 교수법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장구 연주 및 구음 학습을 포함한 체험적 학습을 활성화하고, 전통 음악 연주 영상 및 음원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자연 스럽게 장단의 강세를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음악교육에서 전통 장단의 강세를 보다 정확히 지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전통 음악 교육 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6,400원
        2.
        2020.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itive impact of accented voice-over ads in the globalized consumer market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urchasing intentions for the products being advertised.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consumers’ perception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s of the voiceovers in online advertisements.
        3.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ree studies, we show that semployee accent directly, indirectly (through intelligibility and trust), and/or conditionally affects customer participation (CP) in services positively or negatively, depending on the type of accent and its valence, the customer’s need for interaction, and the type of CP, i.e. voluntary, mandatory, or replaceable CP.
        4,300원
        4.
        2011.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comprehension level and attitudes towards three different English accents: American-accented, Malaysian-accented, and Korean-accented English.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340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nam-do. The data collection in this study consisted of the results of three listening comprehension tests and two survey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 that speakers' various English accents affected the participants’ listening comprehension: The participants understood the American-accented and the Korean-accented English better than the Malaysian-accented English. The study also shows that there is no interaction between the English accents and the participants' L2 listening proficiency levels.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articipants display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American-accented English, followed by Malaysian-accented English, and finally Korean-accented English. This paper therefore suggests that Korean students need to be exposed to various English accents in order to become familiar with the concept of World Englishes.
        6,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