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딧물은 직접적으로 식물의 체관부를 흡즙함으로써 식물 피해를 줄 뿐 아니라 식물 바이러스를 매개하고 그을음병을 유발시켜 식물에 이차적인 피해를 준다. 식량작물에 영향을 주는 기장테두리진딧물(Rhopalosiphum padi), 싸리수염진딧물(Aulacorthum solani), 아카시아진딧물 (Aphis craccivora), 완두수염진딧물(Acyrthosiphon pisum)의 발육, 생존, 번식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생명표분석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10, 15, 20, 25, 30°C에서 얻은 발육단계별 발육기간, 생존율, 성충수명, 성충산자 자료를 암수이용생명표분석(age-stage, two-sex life table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여 생명표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싸리수염진딧물은 30도에서 성충으로 발육하지 못하였다. 15°C를 제외한 모든 온도에서 기장 테두리진딧물의 내적자연증가율이 가장 높았으며 (10, 20, 25, 30°C에서 0.12, 0.34, 0.47, 0.32) 30도에서 완두수염진딧물의 내적자연증가율은 음의 값 (-0.04)이었다. 식량작물을 가해하는 진딧물 4종의 생명표 매개변수 비교분석을 통해 저온 적응성이 높은 종은 싸리수염진딧물이었고 고온 환경에서는 기장테두리진딧물이 우점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The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alate aphids needs reliable and appropriate methods such as morphometrics. In previous studies, the seven species which aphids have been known as migrating to potato had been separated into genus levels using specific points of forewing vein (Landmarks). Adding the number of secondary sensillum of antennae, setae of abdomen, etc., we experimented to separate four species of genus Aphis (Aphis craccivora, Aphis fabae, Aphis gossypii, Aphis spiraecola). After taking each of 25X twenty photographies of four species, we calculated and measured coordinates of landmarks, the number of secondary sensillum of antennae, dorsal setae of 8th abdominal segment, anterior/posterior genital plate setae and cauda, and then performed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PAST3 and the canonical variate analysis using MORPHO J, only with a landmarks. As results, in PCA, Aphis gossypii has been separated, but the others are overlapping. In CVA, all species of aphis has been sepa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