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S :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machine learning techniques based on the results of chemical analysis experiments can be rationally applied to evaluate the aging of various asphalt binders used throughout the country. METHODS : We conducted chemical experiments such as FT-IR, H-NMR, C- NMR, and GPC for the three-stage aging levels of eight types of asphalt binders used in the country and utilized two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to determine valid chemical experimentation and conditions for the use of neural modeling through predictions. RESULTS : The M-prop model, which combined the findings from each neural network model into a singl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demonstrated superior predictive performance compared with the M-base model, which assessed aging using two cluster layers. In addition, the minimum amount of data required to achieve 100% predictive accuracy for the target asphalt binders, regardless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was 18, and the amount of training data decreased to less than 50%. CONCLUSIONS : The predictive accuracy of the aging of asphalt binders was significantly enhanced when GPC data was used, indicating that GPC should be prioritized in evaluating the aging of asphalt binders.
본 연구는 국내 현장실정에 적절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실내노화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강제공기순환식 오븐에서 154℃ 2시간의 단기노화를 거친 혼합물로 제작한 공시체를 110℃에서 24, 48, 72, 96시간 동안 장기노화를 시켰다. 또한 노화시간의 증가에 따라 아스팔트 바인더의 노화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GPC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노화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대형분자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적절한 인공노화시간의 추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단기노화방법은 다소 과다하나 이를 RTFO와 유사한 수준으로 처리한다면 110℃로 약 48시간 이상 노화를 시키면 PAV 처리와 유사한 수준의 혼합물 노화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스팔트는 노화에 따라 물리적 특성변화가 일어난다. 하지만 같은 수준으로 노화시킨 아스팔트 혼합물들임에도 골재와 결합재 등에 따라 서로 다른 강성이나 취성을 보인다. 이는 노화에 의한 바인더 특성 변화의 차이에 기인한 것인데 이와 같이 혼합물 내에서 바인더의 물리적 특성 변화 차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별로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노화 후추출한 바인더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고 물성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폴리머 3종류와 골재 두 종류, 두 가지 입도, 두 종류의 아스팔트를 사용하여 32종류의 혼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장 단기 노화 처리하였다. 각 혼합물의 노화 후 Abson recovery 방법으로 바인더를 추출 회생하고 바인더 물성 시험(침입도, 동점도, 절대점도)을 수행하였다. 이를 SAS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바인더 시험에서 골재 종류와 폴리머가 노화시 물성변화에 차이를 가져오는 심각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고, 입도는 점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혼합물 내의 바인더 물성은 골재 종류, 입도, 개질제의 종류, 바인더의 종류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스팔트는 노화에 따라 물리적 특성변화가 일어난다. 하지만 같은 수준으로 노화시킨 아스팔트 혼합물들임에도 골재와 결합재 등에 따라 서로 다른 강성이나 취성을 보인다. 이는 노화에 의한 바인더 특성 변화의 차이에 기인한 것인데 이와 같이 혼합물 내에서 바인더의 물리적 특성 변화 차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별로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노화 후추출한 바인더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고 물성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폴리머 3종류와 골재 두 종류, 두 가지 입도, 두 종류의 아스팔트를 사용하여 32종류의 혼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장 단기 노화 처리하였다. 각 혼합물의 노화 후 Abson recovery 방법으로 바인더를 추출 회생하고 바인더 물성 시험(침입도, 동점도, 절대점도)을 수행하였다. 이를 SAS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바인더 시험에서 골재 종류와 폴리머가 노화시 물성변화에 차이를 가져오는 심각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고, 입도는 점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혼합물 내의 바인더 물성은 골재 종류, 입도, 개질제의 종류, 바인더의 종류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 Ginseng seeds are one of short-lived seeds species which loose their viability easily in the condition of conventional storage. Cryopreservation using liquid nitrogen (LN) has been recommended as a alternative storage for this kind of germplasm short lived or dessiccation-sensi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whether cryopreservation could assure initial viability not only for seeds with high germination rate but also for seeds with low germination rate (in aging process).
Methods and Results : In this work, 3 cultivars of dehisced ginseng seeds were artificial aged in the condition of 40℃, 95% RH during 6 hours with 3 hours-interval. The germination rate of ginseng seeds was decreased to the range of 71 - 94% of initial viability by artificial aging treatment. After 24 hours of vapor-LN exposure on both of artificial aged and non treated seeds as a cryopreservation, germination rate for each cultivar was decreased with the range of 76 - 95% of initial viability. While the decreasing patterns of germination rate for each cultivar showed similar curves between before and after vapor-LN exposure, the aging effects could be slightly little by cryopreservation for 3 cultivars of ginseng seeds.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we may suggest that cryopreservation could be recommened for storage tool of dehisced ginseng seeds even with low viability also and expected to make slower seed aging process during preservation period through further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