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mproved the separation of the basic proteins from the soybean cotyledon, Glycine max L. Merr. by searching N-terminal sequences data in proteins isolated by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2-DE). After removed Hexane, proteins were extracted from cotyledon with a urea/Triton/2-mercaptoetanol solution. Using this method, the highly reproducible isoelectric focusing (IEF) can formed with polyacrylamide gels with pH 4.0-9.8. The IEF tube gels were used as the first dimension, and proteins were visualized by second-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and identify a number of soybean cotyledon proteins using mass spectrometry in the proteome analysis. These instruments of 2-DE and IEF tube gels were used 27 cm and investigate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total number of spots and features was obtained by PDQuest software (Bio-Rad). In this experiments performed, the IEF tube gels and instruments afforded good reproducibility in the number of PDQuest-detected spots from gel to gel while IPG offered better reproducibility in the total number of manually detected spots from gel to gel. In conclusion, we have separated of the basic 13 proteins in soybean. The glycinin subunit separations are also considered to play important roles in soybean breeding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The improved technique will be useful to dissect the genetic control of glycinin expression in soybean.
        2.
        198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집된 재래의 유색대두종을 일률적인 재배조건하에서 종실특성 변이와 종실종군별 생육진전 및 수량형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유색대두 수집종들은 100립중을 기준으로 하여 20gr 이하의 소립중, 20-25gr의 중립중, 25-30gr의 대립종 및 30gr 이상의 특대립종 등 4개군으로 나눌 수 있었다. 2. 종실크기에 관련된 요인중 종실장과 종실폭의 변이는 종실후보다 크게 나타났다. 3. 종실중과 경중 및 주당협수 등의 형질들은 변이계수에서 생육일수나 결과일수 등의 형질보다 큰 경향이었다. 4. 생육일수와 성숙일수 및 개화시기는 립중군별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5. 개화기와 성숙일수는 경장 및 경중과 정의 상관관계를, 경장과 경중은 수량형질과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주당협수는 100립중과 부의 상관을, 또한 수량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