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5.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만성췌장염은 췌장 외분비 기능부전을 유발하며, 이로 인해 지용성 비타민 흡수 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영양 결핍이 흔하게 발생한다. 특히 비타민 D 결핍은 칼슘 항상성과 골대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골밀도 감소와 함께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의 위험을 높인다. 실제로 만성췌장염 환자의 다수 에서 비타민 D 결핍, 그리고 골밀도 감소가 보고되었으며, 이는 삶의 질 저하 및 골절 위험 증가와 직결된다. 따라서 본 종설에서는 만성췌장염 환자에서 지용성 비타민, 특히 비타민 D의 결핍이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병태생리, 진단적 접근, 치료 및 모니터링 전략을 고찰하였으며, ESPEN, AGA, JSGE 등 최신 국제 가이드라인의 권고사항을 비교함 으로써 임상 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통합적 관리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한다.
        4,000원
        2.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복합운동이 여성노인의 폐기능, 혈중 비타민 D, 칼슘 및 골대사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만 65세 이상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운동군(n=13), 대조군(n=17)으로 구분하여 주 3회, 회당 60분의 복합운동을 실시하였다. 유산소 운동 강도는 1-4주는 40-50%HRR(RPE 12-13), 5-8주는 50-60%HRR(RPE 13-14), 9-12주는 60-70%HRR(RPE 14-15)의 강도로 설정하였고 저항 운동 강도는 1-4주는 OMNI-RES(3-4), 5-8주는 OMNI-RES(5-6), 9-12주는 OMNI-RES(7-8)강도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폐기능 중 FEV1은 그룹×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 운동군의 FVC/FEV1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비타민 D는 그룹×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 운동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칼슘은 그룹×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대조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골대사호르몬 중 칼시토닌과 오스테오칼신은 그룹×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 오스테오칼신은 대조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12주간의 복합운동이 여성노인의 신체활동을 활발하게 하여 폐 기능을 개선하고 혈중 비타민 D의 결핍을 완화할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칼슘 및 골대사호르몬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