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朝鮮 正祖 16年(1792)에 刊行된 『生生字譜』를 對象으로 삼아 이에 反映된 當時의 漢字 빈도 狀況과 그것이 漢字 頻度 硏究史에서 가지는 의의에 대해 논의하고자 기획되었다. 形·音·義 외에 漢字의 第4要素라 불리는 “글자의 빈도(字頻)”는 해당 글자의 실제 사용 능력을 나타내 준다는 의미에서 漢字의 字頻硏究는 漢字 그 자체는 물론 漢字의 應用硏究에도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生生字譜』에 수록된 1만4천9백82개의 字種을 대상으로 하여 (1) 한자빈도 연구사에서 가지는 『生生字譜』의 가치, (2) 『生生字譜』에 대한 간단한 소개, (3) 『生生字譜』와 18세기 후반 朝鮮時代의 文獻用 漢字頻度, (4) 고빈도 상위 50한자의 속성 분석과 빈도 비교 등에 논의했다. 특히 (3)에서는 『生生字譜』에 수록된 부수별 자종과 주조 수량, 빈도별 글자례, 收錄字의 累積 計頻度, 收錄字의 頻度 等級 分類 등에 대해 논의했고, (4)에서는 고빈도 상위 50한자를 추출하여 이들의 품사, 선진시대 각종 역대 문헌 자료, 동한시대 실물 자료, 위진남북조 석각문자 등과의 빈도 비교를 통해 『生生字譜』가 가지는 빈도의 의의에 대해 논의했다. 다만, 『生生字譜』에 기록된 주조량이 어떤 방식에 의해 조사되고 63등급에 의해 분류되었는지, 당시의 다른 “字譜”들과의 차별성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소맥 품종들에 대한 기공수의 품종간 차이, 엽각부위의 기공분석 및 기공수와 출수기, 간장및 타 광합성 관련형질들과의 관계를 구명코져 조광외 100품종을 공시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엽표면의 기공수는 최저 51(/ extrmmm2 ), 최고90, 이면의 최저는 35, 최고는 65개로서 표면은 이면비해 1.5배가 많았으며,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기공수가 표면은 61~75, 이면은 41~50개인 품종들이었다. 2. 기공의 크기는 표면은 38.5~46.6u , 이면은39.4u 48.0u 으로 이면의 기공이 다소컸으며 기공수와 기공의 크기 간에는 표면 -0.63**, 이면 -0.48*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3. 상위엽의 기공수는 하위엽보다 많고 각 분얼 동신엽의 기공수는 지엽은 고위분얼이 그 하위엽에서는 저위분얼에서 발생한 엽에서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4. 동일엽신내에서는 표면은 선단부나 중앙부가 많고 기부가 적은 반면 이면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5. 지엽 및 제2엽의 엽초에도 기공수는 상당히 존재하여 제3엽이나 제4엽이면의 기공수보다도 많았다. 6. 지엽표면의 기공수가 많은 품종은 타엽신이나 엽초에도 많았다. 7. 지엽표면의 기공수와 간장, 출수기와는 각각 0.53*, 0.51*의 상관이 있었고 엽면적당 건물중(SLW)과는 -0.48*, 엽록소함량 0.53*, 엽면적 -0.59**, 기공개도와는 -0.53* 의 상관이 인정되었으며, 엽맥수와는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기공수가 많은 품종은 간장이 크고, 출수기는 늦어지는 경향이며, 엽유의 두께나 엽면적은 작고 엽록소함량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65%> Virginia소립 59.2%> Valencia 34.3%>Spanish 33.6%> Virginia 대립 31.4% 순이었으며 무피복재배의 경우는 Valencia 48.6%> Shinpung 43.3%> Virginia 소립 47.8%> Spanish 46.7%>Virginia 대립 25.3% 순으로 피복재배를 함으로써 평균 10.1% 정도 완숙협 비율이 높았다. 6. 등숙초기(파종 120일후)의 완숙협 비율은 Shinpung> Spanish > Virginia 소립> Valencia > Virginia 대립 순이었으며 완숙협이 현저하게 증가된 시기는 7월 29일∼9월 7일 사이였다. 7. 절위분지별 완숙협의 분포는 전체 완숙협의 63%를 자엽절 2분지가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3∼5절 분지에서 34%, 6절위분지 이상에서 3%로 자엽절 2분지의 비중이 특히 컸다.스 접종 8일 후의 중장원동세포내에서 A형 및 B형 봉입체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10. FV감염 중장조직세포의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바이러스 접종 5일 후에 배상세포의 'cytoplasmic wall'이 비대해지고 그 내부에 virus-specific vesicle이 형성되었으며,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에는 virus-specific vesicle, 바이러스 입자, linear structure, tubular structure 및 전자밀도가 높은 matrix 등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특이적인 구조물이 배상세포의 세포질에서 관찰되었으며, microvilli내에서 바이러스 입자의 존재도 확정되었다. 특히 virus-specific vesicle 주위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구형의 바이러스 입자 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