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한문소설이 갖는 장르적 특성을 고려하는 가운데, 한문소설교육의 목표, 그리고 교육내용 체계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고등학교에서 한문소설을 교수학습할 수 있는 모형을 구안하기 위해 학습자들이 한문소설을 읽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문소설을 교수학습할 수 있는 모형들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절차모형과 목표모형을 통합하는 가운데, 한문소설 교수학습 모형을 반응 중심 모형과 가치 탐구 모형을 통해 살펴보고, 이 모형들의 구체적인 적용을 논의하였다. 발견적 경험과 교섭적 경험을 하는 학습자의 한문소설 읽기 과정은 소설에 대한 이해와 해석, 반응의 정도에 따라 ‘발견적 읽기’, ‘해석적 읽기’, ‘구성적 읽기’로 세분화될 수 있다. 이 과정들은 학습자가 텍스트와의 소통을 통해 문학적 의미를 구성해 가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 과정들을 고려한 한문소설 교수학습 모형들은 학습자가 소설 텍스트의 심미성을 의미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자기 이해를 도모하는 한문소설교육의 지향점과 맥을 같이한다. 반응 중심 모형은 ‘반응 준비하기’, ‘반응 형성하기’, ‘반응 명료화하기’, ‘반응 심화하기’ 등으로 설계될 수 있고, 가치 탐구 모형은 ‘가치 확인하기’, ‘가치 분석하기’, ‘가치 선택하기’, ‘내면화하기’ 등으로 설계될 수 있다.
        8,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