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ext mining was conducted on the product names of skirts, pants, shirts/ blouses, and dress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keywords appearing in online shopping product names.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the number of keywords that appeared 0.5% or more for each item was around 30, and the number of keywords that appeared 0.1% or more was around 150. The cumulative distribution rate of 150 terms was around 80%. Accordingly, information on 150 key terms was analyzed, from which item, clothing composition, and material information were th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types of information (ranking in the top five of all items). In addition, fit and style information for skirts and pants and length information for skirts and dresses were also considered important information. Keywords representing clothing composition information were: banding, high waist, and split for skirts and pants; and V-neck, tie, long sleeves, and puff for shirts/blouses and dresse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current design characteristics preferred by consumers from this information. However, there were also problems with terminology that hindered the connection between sellers and consumers. The most common problems were the use of various terms with the same meaning and irregular use of Korean and English terms. However, as a result of using co-appearance frequency analysi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re is little intention for product exposure, so it is recommended to avoid it.
        5,400원
        2.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expansion of various distribution channels in online and offline stores, TV, and mobile, consumers now have more information search and retail selection channels to choose from than ever before. Major retailers now use multi- and omni-channel strategies. This study focused on cross-channel consumption, which involves the use of different information search and purchase channels. Using crosschannel consumption, consumers can search for information online and then make purchases offline and vice vers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nel strategies and other consumer variables, and the study also assessed the effect of product type. To conduct this empirical study, the researchers developed a consumer questionnaire concerning three consumer channel strategies-on-on, cross, and off-off-and four product categories-clothing, cosmetics, books, and electronics. The results indicated that gender and marital status did not influence consumer channel strategies, but that age did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The analysis showed that consumers in their 40s preferred the cross channel strategy, perceiving it to be effective, satisfactory, and rewarding. Compared to other products, clothing products showed higher levels of cross channel strategies. Consumers indicated that they prefer searching for information online and then purchasing clothing offline. Overall, clothing products generated higher levels of channel satisfaction and channel switch intentions. Cross-channel clothing shoppers reported effective information retrieval times but longer delivery times.
        4,200원
        3.
        2017.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lothing longevity supports sustainability, but the paper questions the implementation of this strategy. The research, based on industry and expert experiences, posits the technical possibility of achieving longer-lasting clothing, but identifies norms of agency and interaction within the global clothing supply chain as factors limiting the business case and processes.
        4,000원
        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의류에 대한 감성 요인을 분석하여 종래 의류와의 감성 차이를 비교하고 제품과 의류 간의 융합으로 인한 소비자 감성의 변화를 고찰하는 한편 스마트 의류와 종래의 의류 간의 선호도 및 구매 의사 차이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소비자 감성을 만족시키는 소비자 중심의 스마트 의류 디자인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상품기획 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스마트 의류에 대한 감성 요인은 총 6개 의 요인으로, ‘테크니컬한’, ‘컴포트한’, ‘심미적인’, ‘모던한’, ‘펀’, ‘복합적인’ 감성 요인으로 분석되었는데, 이 중 ‘컴포트한’을 제외한 5개의 감성 요인에서 종래의 스포츠, 캐쥬얼 의류와 스마트 의류 간에 유의미한 감성 차이 를 보였다. 또한 스마트 의류와 종래 의류 간에 선호도는 스마트 의류가 약간 높았던 반면, 구매의사는 종래의 의류보다 스마트 의류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나 선호도가 소비자의 즉각적인 구매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좀 더 다양화된 애플리케이션의 스마트 의류 개발과 상품화 전략이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스마트 의류 개발 및 상품화에 관한 자유 응답식 설문 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심박, 심전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헬스케어용 스마트 의류 뿐 아니라 신체 동작으로부터의 에너지 수확 기능, 발열과 발한 기능, 운동량 측정 및 칼로리 소모 등 다이어트에 도움을 주는 스마트 의류 개발에도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를 반 영하여 향후 스마트 의류의 개발 지침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4,000원
        5.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decision-making confidence of clothing. As determinants, this study examined consumer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vanity, and clothing knowledg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ing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Out of 324 distributed, 300 useful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The results showed that identical conformity among consumer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decision making confidence through vanity. Although normative conformity does not influence decision-making confidence directly, it does significantly influence decision-making confidence indirectly through influencing vanity and clothing knowledge. The results suggest clothing is a manifestation tool for managing public self, which finally leads to increased clothing knowledge and decision-making confidence of clothing. These findings may be used by marketers in developing strategies for product development and promotion.
        4,300원
        6.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MP3스마트웨어 상용화를 위한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MP3 스마트웨어는 MP3 플레이어, 리모컨 모듈, 이어폰이 하나의 키트(One-kit) 형태로 되어 있으며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다. 개발된 의류는 재킷타입의 MP3-YSJ(Yonsei Smart Jacket)와 사파리타입의 MP3-YSS(Yonsei Smart Safari)의 2종류의 MP3스마트웨어 였다. 2종류의 스마트웨어를 대상으로 한 두 차례의 사용성 평가가 각각 모듈별 평가와 항목별 평가로 진행되었다. 모듈별 평가는 외관, 소재, 음악컨트롤러, 이어폰/스피커, 커넥터였고 항목별 평가는 사회적 수용성,착용감,유용성,관리용이성,안전성을 평가하였다. MP3-YSJ 1.0과 MP3-YSS 1.0을 대상으로 한 1차 사용성 평가에서는 모듈별 평가는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항목별 평가에서는 MP3-YSJ 1.0와 MP3-YSS 1.0모두 다른 항목에 비해 사회적 수용성이 약간 낮게 평가되었고, 커넥터의 관리 용이성과 음악컨트롤러의 사회적 수용성이 낮게 나타났다. 2차 사용성 평가는 1차 사용성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개발된 제품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MP3-YSS 2.0은 음악 컨트롤러의 사회적 수용성과 관리용이성, 커넥터의 관리용이성이 개선이 필요한 항목으로 밝혀졌고, MP3-YSS 2.0의 경우에는 음악컨트롤러로의 사회적 수용성, 커넥터의 사회적 수용성, 소재의 관리용이성이 개선이 필요한 항목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용자는 키패드의 배치 때문에 사회적 수용성 측면에서 불편을 느꼈다. 음악컨트롤러의 사회적 수용성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음악컨트롤러의 키패드 인터페이스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