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가루이, Bemisia tabaci는 바이러스병의 매개로 인해 제주지역 시설재배 토마토에서 가장 중요한 해충으로 인식되고 있다. 황색끈끈이 트랩을 이용한 담배가루이 성충의 실용적인 발생밀도 추정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2011과 2012년 제주 서부지역의 농가재배 토마토 포장에서 포장 상황에 따라 20~30개의 트랩을 설치하여 7~10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황색끈끈이트랩을 지상 60 cm 높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한 것 이 작물 상단 10 cm 위에 수직으로 설치한 것보다 더 많은 담배가루이가 유인되었다. 황색끈끈이트랩에 유인된 담배가루이 성충의 분포형태를 Taylor’s power law (TPL)과 Iwao’s patchiness regression (IPR)을 이용 분석한 결과 두 회귀식의 기울기값이 모두 “1”보다 커 담배가루이 성충이 집중분포를 하고 있었다. TPL의 결정계수(r 2 )값이 IPR보다 더 높아 TPL이 담배가루이 성충의 공간분포 특성을 더 잘 설명하고 있었다. 담배가루이 성충 밀도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황색끈끈이트랩의 수를 TPL 상수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는데 정확도 수준이 높을수록, 평균밀도가 낮 을수록 필요한 트랩수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TPL 상수를 이용하여 고정 정확도 수준에서 조사를 중지하더라도 트랩당 평균밀도를 추정이 가 능한 누적밀도를 계산하였다. 담배가루이 성충의 방제시기를 트랩 최고 밀도 10마리로 가정했을 때 이 밀도에서 필요한 포장당 트랩수는 고정정 확도 0.25수준에서 15개이었다. 담배가루이 성충의 트랩당 평균밀도는 트랩마다 모든 성충수를 계수하는 것보다 2마리 이상 유인된 트랩의 비율 을 가지고 추정하는 이항모델 [ln(m) = 1.19 + 0.90 ln(-ln(1-pT))]을 이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정 확한 방제의사 결정을 통해 담배가루이가 매개하는 바이러스병 확산을 막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의 경관색채는 주민, 전문가, 관련 행정기관의 합력하여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경관형성과 정비, 관리유지가 필요하다. 이에 본 계획은 서울시 도봉구 도시디자인기본계획의 일환으로 그 목적은 자연친화적 도시를 지향목표로쾌적한 도시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경관색채 디자인 방향을 모색하고 실천과제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기 위함이다.색채계획은 지역의 여러 가지 자원과 특징이 총체적으로 반영되고 투영되어야만 정체성이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주민의식조사를 통해 도봉구의 대표경관이미지와 지향이미지를 파악하여 경관색채의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서울시 전체의도시경관과의 연속되는 조화를 이루도록 서울색과의 정합성을 유지하는 도봉 대표색과 팔레트를 추출하였으며 특성화계획에 반영하였다. 따라서 주조색과 보조색은 도봉구의 자연환경의 색채특성을 반영하여 도시의 배경이 되도록 하였으며강조색은 권역의 유형에 따라 색조와 색상을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세부 색채가이드라인은 색채와재질감 및 제 특성을 고려하여 규정하고 그에 따른 예시를 제시함으로 실제 적용이 쉽도록 하였다.
People are making efforts multilaterally to create agricultural landscape beautifully. Still in farming villages, however, large-scale facilities or houses are disharmonized with natural environment because of their outer colors, mostly primary colors, not considering natural environment. The main study is done on experts’ color perception. Investigation about perception of color experts ' view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energy business based on the color to set the direction of the rural landscape in the future.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image of the rural area is not reflected well, and the symbolic color of the rural landscape is the reverse image according to the energy business. The rural village’s image in the future, “Harmonious”, “Natural”, “Rural” were higher Figure. There were the most important and harmony with nature. Based on such future harmony with nature in the color planning The colors match and is expected to be the color within the scope. Lack of awareness in the current farming town scenery is unsatisfactory. Awareness about the need for further improvement was higher. Therefore, color according to a harmony with nature images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farming model should be planned.
This study started with the issue that the criteria for the general image scale used in outdoor color planning are vague and the vocabulary and expressive area of the scale are not accurate. As an exterior color planning guideline, it is required to suggest a sensible image scale, which is an appropriate assessment tool for outdoor environment. We identified psychological attributes of colors and set the color image scale axis as “Soft–Hard” in a vertical and “Warm–Cool” in a horizontal. 26 sensibility languages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image scale through literature review, pre-analysis, and expert evaluation. All types of colors extracted from analyzing over 600 photo imag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26 sensibility languages. 3 colors by each sensibility language were finally selected and arranged in the color image scale in accord with the outdoor environment of the apartment hous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wide range of color position in the color image scale could be utilized as an effective guideline for actual color planning by upgrading the existing color image scale to a higher level with the color reflecting sensibility language. The result also implies that the development of diversified color palette is required especially for the exterior color planning of apartment houses, and the systematical color design process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olor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