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1년에 전국 79개 악취검사기관을 대상으로 공기희석관능법에 대한 숙련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악취방지법의 부지 경계선과 악취 배출원의 배출허용기준을 모사한 2개의 합성복합악취를 숙련도 시험물질(proficiency testing materials, PTM)로 사용 하였다. 부지 경계선 시료는 7ppm의 톨루엔과 7ppm m-자일렌의 복합악취로 구성하였으며, 배출구 시 료는 10ppm DMS (dimethyl sulfide)와 10ppm DMDS (dimethyl disulfide)의 복합악취로 구성하였다. 숙련도 시험 결과는 기준값으로 평균과 중간값을 사용하고, 목표표준편차로 일반 표준편차, 로버스트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를 사용하여 Z-점수를 평가하였다. 시험결 과의 변동계수는 PTMs의 냄새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복합악취에 대한 숙련 도 시험 결과는 악취희석배율보다 로그 스케일의 악취지수를 사용하여 평가하는 것이 적 절했다. 두 PTMs에 대한 참여기관의 Z-점수를 변동계수, 표준편차, 그리고 로버스트 표 준편차를 사용하여 평가할 때, 참여기관의 95%가 숙련도 기준을 만족하였다. 목표 표준 편차를 변동계수의 20%로 설정하였을 때 참여기관의 만족도 비율은 부지경계와 출구 PTM 시료에 대해 각각 90%와 95%로 양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부지경계와 출 구의 복합악취를 모사한 두 합성 PTMs 모두 복합악취의 숙련도 시험물질로 적합하였다.
        4,000원
        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at the evaluation of odor analysis is affected by the classification of the agency and the general properties of the odor analysts, including gender, age, smoking behaviour,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n odor assessment, etc, so as to improve reliability and skills in terms of the result of complex odors by the air dilution methods. The sample for complex odor used the field sample which aimed at the odor analysts in the agency. The general characterizations of the odor analysts have affected the results of the odor analysis. The values of odor evaluation obtained by female odor analysts were more delicate than male, and the value of the result was reduced when above 40 s analysts conducted the evaluation. Moreover, Non-smokers perceived odor more sensitive than smokers. The more experience of odor analysis odor analysts had, The less values of the result were assessed.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o differences in the value of odor evaluation depending on theclassification of institutions that participate in odor investigation. In conclusion, the selection of odor analysts considered gender, age, smoking behavior, and experience may be required to determine the improved reliability of data in odor evaluation. Ideally, Non-smokers 20~40 years old who have no dysfunction for the olfactory sense can be suitable for being optimal odor analyst.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