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문 문법 분석에 있어 현재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가장 큰 單位는 문장이다. 그러나 문장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가 다르고, 그에 따른 문장의 경계도 달라 좀 더 명확한 서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문장은 완정한 의미를 표현하는 독립할 수 있는 언어 단위로, 주어[문두의 NP]가 관할하는 구절까지를 경계로 한다.”라는 정의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 정의도 문두의 NP가 관할하는 범위가 段落으로까지 길어지는 언어 현상에 대해서는 분석의 한계가 있었다. 그 이유는 문법 분석의 단위를 문장으로 국한시켰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 본고에서는 문장으로 조합된, 문장보다 더 큰 단위의 조직인, 단락을 상정하고 단락을 관할하는 ‘주제’를 제안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문법 분석 단위를 단락으로 확장했을 때의 효용성을 단어의 문법 성질 파악, 문헌 독해, 한문 교과서 글감 제시 범위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5,800원
        2.
        201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hen one is reading or writing, various forms of bottom-up knowledge—e.g., grammar, vocabulary, orthography, and the mechanics of written language—interact with the top-down processes at the level of discourse. One of the reasons English language learners encounter a lot of difficulty when they are engaged in academic reading and writing is that they have been taught grammar only at the sentence level and not at the discourse level. In order to illustrate how discourse-based grammar instruction can facilitate the acquisition of academic reading and writing, this paper discusses various ways in which the following four topics can be dealt with at the discourse level: cohesion, the tense and aspect system, comma usage, and existential there. Obviously, discourse-based grammar instruction should be integrated with the teaching of the other top-down and bottom-up skills necessary for academic reading and writing. EFL teachers, however, need to know more about discourse grammar to effectively make their learners aware of it and to offer them learning activities that will contribute to better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ten production.
        5,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