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best performing switchgrass (Panicumvirgatum L.) cultivar with three different seeding dates as a bioenergy source in Republic of Korea. Split-plot in time with three replications was performed and three switchgrass cultivars, Carthage (CT), Cave-in-Rock (CIR), and Forestburg (FB)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from 2009 to 2012. Plots were seeded on April 23, May 4, and May 13, 2009 and were harvested once in November each year. No fertilizer was applied to the field for the first year; however, in second and third years (June 2010 and May 2011, respectively), N, P2O5 and K2O fertilizers were applied in 67,45 and 90 kg ha-1, respectively. Soil pH (5.9) and climate condition including temperature (10.4∼17.5℃) and precipitation (89.4~109.8 mm month-1) were suitable for switchgrass cultivation. Total dry matter yields were higher in CT and CIR compared to FB and were 16.9, 15.9, and 4.5 ton ha-1, for CT, CIR, and FB, respectively (p<0.0001).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crude fiber (CF), ether extract (EE), and ash.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ergy content (p = 0.96) and chemical composition among cultivars (p>0.05) were found. Seeding dates did not affect DM yield (ton ha-1), chemical composition and energy content significantly (p>0.05).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for heights among CT, CIR, and FB (177.59, 169.98, and 94.89 cm, respectively, p = 0.0002). In conclusion, based on soil characteristics and climate condition in Korea compared to other countries, switchgrass can be cultivated successfully. Considering dry matter yield and energy content of these three cultivars of switchgrass CT and CIR adapted better to climate in Middle Eastern of Republic of Korea than Forestburg for bioenergy purpose.
        4,000원
        3.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a purpose of finding out the effects of cattle slurry application on thc nutrient contents of herbages and energy productivity in grassland,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wo times and five levels of cattle slurry application. The experimenta
        4,000원
        4.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서부지역인 충청지역에서 사료작물의 새로운 작부체계로 보리와 완두를 혼파재배할 때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혼파비율과 예취시기에 따른 사료가치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수량은 보리의 파종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보리와 완두 혼파비율이 85 : 15% 파종구에서 5월 16일에 예취할 때 가장 많았다. 조단백질, 가급태단백질 및 가소화 단백질은 4월 25일 예취시에는 혼파비율간 유의차가 없으나, 5월 2일 예취 이후부터는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보리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ADF와 NDF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RFV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TDN함량은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나, 예취시기별로는 5월 9일 예취시까지는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였고 그 이후는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P와 Mg함량은 혼파비율간 유의차가 없었으며,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Ca은 증가하였고, K은 감소하였다. 예취시기별로는 P, Ca 및 K은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였으나. Mg은 5월 9일 예취시기까지는 별 변동이 없었고, 그 이후 예취시 부터는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다. 에너지함량에서 ENE, NEM 및 NEG는 혼파비율과 예취시기 간에 유의성이 있어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예취시기가 빠를수록 증가하였다. 건물중에 각 성분의 함량을 적한 수량에서 보면 단백질, P, Ca, K 및 Mg 등의 무기물 수량은 보리와 완두의 혼파비율이 75 : 25% 파종구에서, ENE, NEL, NEM 및 NEG 등의 에너지 수량과 TDN수량은 보리와 완두의 혼파비율이 85 : 15% 파종구에서 가장 높았다. 예취시기별로는 TDN 수량, 모든 무기물 및 에너지수량은 5월 16일에 예취하는 것이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