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환경디자인은 다원적이며 복합적이므로 인접학문의 상호관계성을 연구하는 다학제적인 사고와 분석의 틀을 갖추어야만 한다. 본 연구는 환경디자인에 있어서 상징미학의 가치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기호학적 접근 가능성을 제시함이 목적이다. 따라서 기호학을 분 석의 틀로써 설정하고,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을 하는 기호로써 환경디자인이, 인간과 환경 상호관계 속에서 발현되는 상징 의미작용을 표현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문헌연구를 통해 도 출하였다. 환경을 지각한다는 것은 기호작용에 의한 의미전달과정이다. 따라서 환경디자인 이 인간 중심의 영역으로서 형식과 내용의 체계를 지닌 상징화의 메카니즘이라고 볼 때, 공 간의 상징성은 기호학의 개념과 코드의 조직원리에 의해 합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기 호학적 접근방법은 타당하다.
        4,500원
        2.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월드컵공원전시관에서 공원이용객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사전환경해설을 통한 정보제공이 공원 이용객의 환경관심을 유발시키는지, 또한 형성된 환경관심과 공원체험만족도 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초점이 맞춰져 있다. 월드컵공원전시관에서 시행중인 '안내자에 의한 환경해설'과 '자기학습식 환경해설'에 따라 방문객에 대한 환경관심과 공원체험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도시공원의 현실에 적합한 환경해설방식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환경해설을 실시한 집단이 환경해설을 실시하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환경지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전환경해설을 통해 습득된 환경지식과 환경관심과의 관계에서 환경지식의 변화량이 큰 집단은 변화량이 작은 집단에 비해 환경관심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 유의성도 인정되었다. 또한 환경해설을 통해 형성된 환경관심은 공원체험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 유의성도 인정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환경해설을 통한 지식형성은 대상지에 대한 친환경적인 관심을 유발하는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형성된 환경관심은 공원이용객의 체험활동에 대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증적인 분석을 통하여 환경해설이 공원이용객에게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나 현장실험여건상 일부 변수에 대한 통제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실제 이용되고 있는 공원을 대상으로 현장에서 진행된 실험에 대한 의미가 있는 연구로 생각된다.
        4,000원
        4.
        200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ddressed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attitude improved using forest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program. While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developing interpretation program itself,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that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has improved toward pro-environmental attitude. This program was designed self-guiding interpretive techniques at Mt. Palgongsan Provincial Park. Environmental attitude was measured using 12 statements which was based on fifth-graders attitude scale in U.S.A. Data were collected from 84 elementary school participants in this program. Results showed that attitude scores of participants increased toward pro-environmental attitude. Especially, three statements (interest, safe and benefits of fores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survey. Results can be used by outdoor educators to evaluate and plan their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programs and method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