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적 : 삼각 섬유성 연골 파열환자의 자기공명영상 검사 시 3D FSPGR with Fat Saturation 기법과 Isotropic 3D FSE with Fat Saturation 기법을 비교하여 삼각 섬유성 연골 파열 환자를 관찰하기 위한 Isotropic 3D FSE with Fat Saturation 기법의 유용성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5년 10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삼각 섬유성 연골 손상을 주호소로 본 기관을 내원한 환자 9명(남: 5명 여: 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3D FSPGR with Fat Saturation 기법과 Isotropic 3D FSE with Fat Saturation 기법을 통해 획득한 관상면 영상과 획득한 영상을 축상면 및 시상면으로 재구성한 영상을 가지고 삼각 섬유성 연골과 월상골, 배경신호의 신호강도 값을 측정하여, SNR 및 CNR 값을 계산하고, Mann-Whitney U-검정으로 두 기법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여 정량적 평가를 하였다. 또한 정성적 평가는 영상의학의 2명이 각각의 영상을 관찰하여, 삼각 섬유성 연골의 형태, 영상 내 인공음영, 병변의 묘사 정도의 3가지 항목을 선정한 후 이를 4점 척도(0: 진단 불가, 1: 부족함, 2: 충분함, 3: 좋음)로 평가하였고, Kappa-Value을 이용하여 두 관찰자간의 일치도 검증을 하였다. 영상획득에는 3.0 T MR 장비와 Extremity RF Coil을 사용하였다. 결 과 : 정량적 평가 결과, SNR의 평균값은 3D FSPGR with Fat Saturation 기법의 경우 관상면, 재구성 축상면, 재구성 시상면이 각각 19.00±1.96, 17.69±1.52, 17.84±1.12의 값을 나타내었고, Isotropic 3D FSE with Fat Saturation 기법의 경우는 각각 22.62±1.00, 20.64±1.53, 20.23±1.70 의 값을 나타내었다. CNR 평균값의 비교는 3D FSPGR with Fat Saturation 기법의 경우 관상면, 재구성 축상면, 재구성 시상면이 각각 18.62±1.19, 10.41±1.30, 10.28±1.18의 값을 나타내었고, Isotropic 3D FSE with Fat Saturation 기법의 경우 각각 22.62±1.00, 17.69±1.39, 17.35±1.64의 값을 나타내었다. 모든 영상 단면에서 SNR값 및 CNR값이 Isotropic 3D FSE with Fat Saturation 기법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p<0.05) 정성적 평가 결과에서 관찰자1의 경우, 3D FSPGR with Fat Saturation 기법에서는 삼각 섬유성 연골의 형태, 인공음영, 병변의 묘사 정도가 각각 관상면에서는 2.51±0.5, 2.33±0.5, 2.44±0.5이고, 재구성 축상면에서는 2.33±0.5, 2.22±0.4, 2.44±0.5이고, 재구성 시상면에서는 2.33±0.5, 2.33±0.5, 2.33±0.5의 값을 나타내었다. Isotropic 3D FSE with Fat Saturation 기법에서는 삼각 섬유성 연골의 형태, 인공음영, 병변의 묘사 정도가 각각 관상면에서는 2.77±0.4, 2.77±0.5, 2.77±0.4 이고, 재구성 축상면에서는 2.88±0.3, 2.88±0.3, 2.88±0.3이고, 재구성 시상면에서는 2.66±0.5, 2.88±0.3, 2.77±0.4 의 값을 나타내었다. 관찰자2의 경우, 3D FSPGR with Fat Saturation 기법에서는 삼각 섬유성 연골의 형태, 인공음영, 병변의 묘사 정도가 각각 관상면에서는 2.55±0.5, 2.33±0.5, 2.44±0.5이고, 재구성 축상면에서는 2.33±0.5 2.33±0.5, 2.55±0.5이고, 재구성 시상면에서는 2.22±0.4, 2.33±0.5, 2.55±0.5의 값을 나타내었다. Isotropic 3D FSE with Fat Saturation 기법에서는 삼각 섬유성 연골의 형태, 인공음영, 병변의 묘사 정도가 각각 관상면에서는 2.88±0.3, 2.77±0.4, 2.77±0.4이고, 재구성 축상면에서는 2.88±0.3, 2.88±0.3, 2.88±0.3이고, 재구성 시상면에서는 2.66±0.5, 2.88±0.3, 2.66±0.5의 값을 나타내었다. Isotropic 3D FSE with Fat Saturation 영상 기법의 평가 결과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Kappa-value 검증을 이용한 두 관찰자 간 평가 결과의 일치도 검증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 론 : 삼각 섬유성 연골 파열환자에서 3D FSPGR with Fat Saturation 기법과 Isotropic 3D FSE with Fat Saturation 기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 한 결과 Isotropic 3D FSE with Fat Saturation 기법이 삼각 섬유성 연골 병변의 감별에 보다 많은 진단적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bstract : 확산강조영상은 골격근 손상이 있을 때 조기에 근육의 신호강도 변화를 알 수 있고 양성과 악성 척추 질환 감별 진단에 유용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원에서 전이성 척추질환에 시행하고 있는 확산강조영상에 Inversion Time과 Fat saturation을 비교하여 영상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이성 척추암을 의심하는 환자 17명을 대상으로 조사 하였으며 병변 과 정상 부위의 신호 대 잡음비(SNR)를 측정하여 대조도 대잡음비(CNR)를 구하였으며, 병변의 구분 정도 및 병변의 검출능력과 전반적인 영상의 평가를 하였다. 정략적 정성적으로 분석한 결과 전이성 척추질환에 사용하는 확산강조영상은 Inversion Time을 이용하는 것 이 영상의 질이 높게 평가 되었다. 목 적 : 확산강조영상은 골격근 손상이 있을 때 조기에 근육의 신호강도 변화를 알 수 있고 양성과 악성 척추 질환감별 진단에 유용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원에서 전이성 척추질환에 시행하고 있는 확산강조영상에 Inversion Time과 Fat saturation을 비교하여 영상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2월에서 2014년 1월까지 본원 종양내과 처방의 전이성 척추암을 의심하는 환자 17명을 대상으로 조사 하였다. 남자 9명 여자 8명으로 평균 연령은 59세였다. 검사에 사용된 장비는 3.0T 자기공명 영상 장비(Siemens skyra 3.0T), 18ch body matrix coil와 spine matrix coil을 이용하여 검사 하였으며 Inversion Time이 적용된 확산강조영상의 매게 변수는 (TR/TE:1200/65ms, Fov:340mm, FA:90°,b-value: 50.900, Slice thickness/gap:5/0mm, Matrix:150×150, TI:240ms)이고 ,Fat saturation을 적용한 확산강조영상의 매개 변수로는 (TR/TE:8000/65ms, Fov:340mm, FA:90°, b-value:50.900 slice thickness/gap:5/0mm, matrix:150×150) 공통적으로 사용된 Diffusion scheme는 Bipolar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 하였으며, 병변 과 정상 부위의 신호 대 잡음비(SNR)를 측정하여 대조도 대 잡음비(CNR)를 구하였으며, 병변의 구분 정도 및 병변의 검출능력과 전반적인 영상의 평가를 방사선사 3명 전문의 2명에게 의뢰하여 정성적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정량적 분석 결과 Inversion Time과 Fat saturation을 적용한 확산강조영상의 평균 신호대 잡음비는 Bone 98.4/70.4. Spine cord 72.2/44.5. Muscle 38.4/29.6. 으로 측정되었고. Bone과 Meta resion의 평균 대조도 대 잡음비는 89.6/67.5로 측정되었으며 Spine cord와 Muscle 의 평균 대조도 대 잡음비는 68.5/42.1로 측정 되었다.(p<0.05). 정성적 분석으로는 적추 질환시 사용한 확산강조영상을 영상의학과 판독의2명, 방사선사 3명 에게 의뢰하여 인공물 발생정도, 해부학적 구조의 명확도, 영상 선명도 및 전체적인 영상의 질을 평가한 결과 Inversion Time와 Fat saturation 영상이 4.3/4.1로측정 되었다(p<0.05). 결 론 : 확산강조영상은 환자의 병변 검출에서 중요한 영상을 묘사 하는데 이용되고 있는 검사 방법이다. 이에 전이 성척추 질환을 대상으로 한 확산강조영상은 TI time이 정량적으로 유용하였으나 정성적 결과 두 영상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일반적인 척추 자기공명영상 검사와 병행하여 확산강조영상을 이용하면 다양한 척추 질환에 보다 정확한 진단에 도움이 될 거라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다양한 b-value를 적용하지 못했고 전이성 척추질환을 대상으로 하여 결론을 도출한 점이다.
        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고자장 3.0T MRI가 보편화되면서 임상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척추 질환의 병리적 감별에 있어 지방 신호를 제거하는 지방억제기법이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체 제작한 phantom 영상을 획득하고 element의 signal intensity와 homogeneity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임상영상을 평가하고 각 지방억제기법의 장·단점을 비교·분석하여 최적의 지방억제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를 위하여 자체 제작한 phantom을 CHESS, SPAIR, STIR, Dixon sequence로 검사하여 각각 5개의 coronal 영상을 획득 한다. 5개의 영상 중 3번째 영상에서 1~25번까지 설정된 ROI의 signal intensity를 측정하여 평균과 변동계수를 산출한다. 임상영상에서는 Brain, C-spine, L-spine을 분석하여 유용한 기법을 평가 한다. 결 과 : Phantom영상의 Signal Intensity는 CHESS>Dixon>STIR>SPAIR로 SPAIR의 영상이 지방소거가 가장 양호하게 분석되었고, CHESS는 영상의 중심부로 부터 멀어질수록 지방제거가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영상의 변동계수는 CHESS>SPAIR>STIR>Dixon 으로 전체 영상의 homogeneity는 Dixon이 가장 양호하였다. Brain 임상영상의 지방억제는 STIR가, homogeneity는 Dixon이 양호하였다. C-spine은 STIR와 Dixon이 지방억제, homogeneity 모두 양호하였다. L-spine은 SPAIR와 CHESS의 지방억제가 양호하였고, homogeneity는 Dixon, STIR가 양호하였다. 결 론 : Phantom 영상의 지방제거는 SPAIR, STIR가 가장 우수하였고, 영상의 homogeneity는 Dixon이 가장 양호한 영상으로 평가 되었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검사에서는 Brain 임상영상의 지방억제는 STIR가, homogeneity는 Dixon이 양호하였다. C-spine은 STIR와 Dixon이 지방억제, homogeneity 모두 양호하였다. L-spine의 지방억제는 SPAIR와 CHESS가, homogeneity는 Dixon, STIR가 양호하였다.
        4,000원
        4.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완신경총에서 STIR(short TI inversion recovery) 지방소거 강조영상과 SPAIR(spectral adiabatic inversion recovery) T2, T1 지방소거 강조영상기법을 비교 평가하여 최적의 지방소거 기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30 명 상완신경총에 질환이 없는 정상인 지원자를 대상으로 3.0 T MRI 기기를 이용하여 검사를 하였고, 분석방법으로 세 기법에 대하여 SNR, CNR 및 4단계 점수로 평가를 하였다. 정량적 분석 결과로 SPAIR T1 기법에 대한 SNR, CNR 값은 상완신경총기시부(03.07 ± 0.98, -2.25 ± 0.54), 상완신경총몸체(06.70 ± 1.81, 36.31 ± 2.17)에서 높은 값을 제공하였다 (p<0.05). 정성적 분석결과 상완신경총 묘출도와 지방소거 정도, 영상의 인공물은 SPAIR T1(3.2 ± 0.70, 3.6 ± 0.51, 3.4 ± 0.10)기법이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다(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