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 유기축산물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유기조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동계작물인 청보리에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가축분뇨의 적정시용수준을 구명하여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평균 청보리의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5.09~5.21, 0.48~0.51 및 3.19~3.21 톤/ha으로 단파로 재배했을 경우의 4.28, 0.38 및 2.8톤/ha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혼파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청보리의 평균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무비구(3.97, 0.37 및 2.56 톤/ha)에 비해 100~150 kg N/ha (5.23~5.76, 0.49~0.54 및 3.28~3.55)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콩과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조단백질과 ADF 함량은 헤어리베치 혼파구(각각 9.7과 34.5%) >사료용 완구 혼파구(각각 9.3과 33.0%) >청보리의 단파구(각각 8.7과 30.5%) 순으로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우분 질소시용수준에 따른 청보리의 조단백질 함량과 NDF 함량은 처리수준 간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ADF 함량은 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TDN 함량은 반대로 감소하였다(p<0.05).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청보리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체중 450 kg, 400 g 일당증체 목표)은 평균 2.62~2.72두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발효우분 질소시용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청보리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보리 재배 시 콩과 사료 작물의 혼파 하였을 경우에는 단파재배 보다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을 ha 당 50 kg 이상 줄이면서도 건물수량을 포함한 생산성과 유기한우 사육능력 증대는 물론 조단백질 함량 등 사료가치를 향상을 시켜 한우 사양 시 조사료자원의 다양화 뿐 아니라 저투입에 의한 고품질 조사료 생산으로 유기축산물 생산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4,000원
        3.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epidemiological evidence has raised concerns that moderate elevation in body iron stores may increase oxidative stress and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Onion flesh or peel contains antioxidant such as flavonoids and alk(en)ylcysteine sulphoxid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onion flesh or peel feeding on antioxidative capacity in aged rats supplemented with high dietary iron. Thirty-two Sprague-Dawley male 16-month-old rats weighing 618±6g were acclimated for 10 days with medium-iron diet (35ppm in diet), and block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ir body weights and raised for 3 months on either control diets (adequate iron-35ppm or high iron-350ppm) or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onion flesh/peel (5% w/w in diet) with high iron (350ppm). Rats fed high iron-onion peel diet had significantly high quercetin and isorhamnetin levels in plasma whereas rats fed high iron-onion flesh diet did not show. Plasma TBARS level was lowered by onion flesh or peel diet with high iron supplementa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ellular DNA damage in brain and kidney tissue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We concluded that high iron diet (10 times higher than requirement) tend to increase oxidative stress and it is plausible that onion flesh or peel feeding enhances antioxidative capacity in the elderly even with iron supplementation.
        4,000원
        4.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aimed to grow organic forage as a prime requirement for organic Hanwoo cattle production over a period of 3 years (2012~2015) in Gyeongbuk region, Korea through mixed cropping of winter fodder barley with legume and application of fermented cattle manure. The effect of barley-legume mixed cropping and application of different levels of fermented cattle manure was studied on forage productivity of whole-crop barley (WCB) and evaluation of feeding capacity of Korean native cattle (Hanwoo) per unit a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AS 9.3 software. Barley-legume mixed cropping increased (P< 0.05) yields of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as compared to those of sole WCB as monoculture. Similarly, acid detergent fiber (ADF) contents and relative feed value (RFV) were also higher (P<0.05) in barley-legume mixed sowing forage compared with those of sole WCB as monoculture. In case of manure application, yields of DM, CP and TDN were also found (P<0.05) highest in 100~150 ㎏ N/㏊. However, varying cattle manure levels did not influence (P>0.05) CP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s. In response to increasing nitrogen application level, ADF content increased (P<0.05) but TDN content and RFV decreased (P<0.05). The Barley-legume mixed sowing and increasing application levels of fermented cattle manure also significantly enhanced (P<0.05) feeding capacity of organic Hanwoo (head/ha) having 450 kg body weight with 400 g of daily gain. Findings of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barley-legume biculture not only cut nitrogen application level of fermented cattle manure by over 50 kg per ha but also increased their feed value and productivity of forage as compared to WCB monoculture. This would be contribution to the diversity of forage resources as well as production of organic animal product by creating low cost and high quality organic forage.
        5.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토양오염을 감소시키고 유기축산물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유기조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동계작물인 총체 밀에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2년(2012~2013년) 평균 총체 밀의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6.10~7.70, 0.59~0.76 및 3.84~4.74톤/ha으로 단파로 재배했을 경우의 4.07, 0.35 및 2.54 톤/ha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혼파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총체 밀의 평균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100~150 kg N/ha(7.24~7.59, 0.67~0.73 및 4.43~4.69톤/ha)가 무비구(5.96, 0.57 및 3.71톤/ha)에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총체 밀의 조단백질 함량은 콩과사료작물의 혼파구에서 평균 9.83~10.03%로 총체 밀 단파구의 8.37%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ADF 함량은 헤어리 베치 혼파구 그리고 RFV는 사료용 완두 혼파구가 다른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에 따른 조단백질 함량은 9.17~9.52%로 처리수준 간 차이가 없었고 ADF 함량은 시용수준이 100 kg N/ha 까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TDN 함량은 반대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총체 밀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체중 450 kg, 400 g 일당증체 목표)은 평균 3.99~4.20두로 단파구(평균 2.21두)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발효우분 시용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질소 수준 100 kg/ha(평균 3.68두)까지 무비구(평균 3.09두) 보다 총체 밀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총체 밀 재배 시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 하였을 경우에는 단파재배 보다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을 ha 당 50 kg 이상 줄이면서도 건물수량을 포함한 생산성과 유기한우 사육능력 증대는 물론 조단백질 함량 등 사료가치를 향상을 시켜 한우사양 시 조사료자원의 다양화 뿐 아니라 저투입에 의한 양질의 조사료 생산으로 유기축산물 생산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