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의 외국인 근로자 정책 변화에 따라 형성·변화된 직업 목적 한국어 학습자군의 특성을 정책적 맥락 속에서 구조적으로 분석하 고, 그에 따라 한국어교육이 정책 내에서 어떠한 위상을 갖는지를 고찰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한국은 단기 비전문 인력 중심의 고용에서 숙련 인력의 장기 체류 및 정주를 유도하는 정책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고용허가제 개편, 숙련기능 점수제 확대, 지역특화형 비자 제도 도입 등 이 이러한 흐름을 보여준다. 이러한 정책 변화는 체류 자격, 산업군, 언 어 요구 수준 등에서 한국 내 한국어 학습자군의 구조를 변화시키며, 이 에 따라 한국어교육이 제도 안에서 갖는 의미와 기능도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외국인 근로자 정책 변화가 직업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 왔는지를 고찰하고, 현 시점에서 한국어교육 이 한국 내 직업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정책과 연계하여 어떻게 정의하 고 대응할 것인지 각 시기의 정책을 한국어교육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분 석하였다. 이를 통해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에 정책이 미치는 영향을 명 확히 하고, 정책과 연계하여 향후 교육적 실천이 나아가야 할 기반을 마 련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Seven foreign languages can be offered in the middle schools since 2001,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However, in reality, only five languages have been taken as elective subjects in these institu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ome basic directions for choosing elective subjects and its implication, by using statistic analysis about different motives in choosing Spanish. The first chapter begins mentioning some evaluations about Korean foreign language education policy on choosing foreign languages in the middle schools,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he second chapter, statistic research method and data collection information are presented. In the third chapter,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are described with SPSS cross tab tables. As a conclusion, the fourth chapter summarizes this study and recommends that elective courses should be chosen by students themselves, neither by school nor by oth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policy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France and to analyze its effect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cluding the changes that have recent1y taken place. Under the assumption that languages ref1ect their culture, the administrative of France has tried to co、rer a variety of languages in Europe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se efforts, however, appear to be unsuccessful due to the financial problems and the heavy emphasis on particular languages based on the social and economical reasons. Nevertheless, these efforts are valued highly, and provide some insights to the cωurre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