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아름’ 배는 기본적인 품종 특성이 중소과 범주에 포함되는 품종으로 재배기술의 큰 변화 없이도 고품질의 중소과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품종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아름’ 품종을 대상으로 중소과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 GA 처리와 비교하여 고품질의 중소과 생산이 가능한 최저 과중 기준 설정하고자 하였다. 과실 품질인자간 상관분석 결과, 무처리구와 GA 처리구에서 공통적으로 과중과 당도, 과중과 경도가 높은 상관관계가 있어 각 처리구의 당도와 경도의 관찰을 통한 과중의 예상이 가능하였다. 또한, 당도와 경도는 소비자 선호도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로 확인되었으며, 당도가 11.6oBx 이상, 경도가 25.6N 이하의 과실이 상품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능평가를 통해 도출된 품질 기준을 각각 과중과의 회귀분석 결과에 적용한 결과, 무처리구는 과중 436g 이상의 과실이 당도와 경도의 품질 기준을 충족하였으며, 품질 균일도 또한 높아 436g 이상의 과실을 수확하면 고품질의 중소과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GA 처리구에서 당도와 경도의 품질 기준을 모두 충족시키는 최소 과중은 620g으로, 중소과 범위에서는 품질이 낮고 불균일하여 고품질의 중소과 생산을 목적으로 재배할 경우, GA 처리는 지양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
        199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네트멜론에 있어서, 주당(株當) 엽수(葉數)를 22매(枚)로 제한하여 8, 10, 12, 14절의 1과착과와 8-9, 10-11, 12-13, 14-15절의 2과 착과구를 설치하고 각각 네트 발현(發現), 품질(品質)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이 어떠한지 알고자 '슈퍼VIP' 멜론을 이용하여 비닐하우스 내에서 춘작재배(春作栽培)로 시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주당(株當) 1과(果) 착과(着果)는 착과절위(着果節位)에 관계없이 네트발현이 양호하였으며, 착과절위(着果節位)가 높을수록 과중(果重), 과장(果長), 과경(果徑), 과육(果肉)두께가 증가되었고, 당도(糖度)와 저장성(貯藏性)은 떨어졌다. 2) 주당(株當) 2과(果) 착과(着果)는 착과절위(着果節位)가 높을수록 네트 발현(發現)이 우수하였고, 당도(糖度), 과중(果重), 과장(果長), 과경(果徑), 과육(果肉)두께가 증가하였으나, 저장성(貯藏性)은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다. 3) 네트발현, 당도 저장성등 상품성(商品性)은 주당(株當) 1과(果) 착과(着果)가 2과(果) 착과(着果) 보다 뛰어났으며, 12절(節)에서 1과(果) 착과(着果)한 것이 가장 우수했다. 4) 수량성(收量性)은 주당(株當) 2과(果) 착과(着果)가 1과(果) 착과(着果)보다 증가(增加)하였다.
        4,000원
        3.
        200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생산, 유통되는 주요 과일류인 복숭아, 사과, 배, 단감, 글에 대하여 환경 조건별, 품종별 호흡속도와 증산속도를 분석함으로서 유통중 객관적인 포장 농산물의 감모율의 허용기준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신선 과일류의 호흡특성과 증산특성은 동일 품목이라도 품종과 수확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과일류의 호흡속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호흡작용의 과 발생되는 수증기 발생량은 3.55∼107.67mg/kg/h로 골판지 박스의 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