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siling is the most preferred technology to preserve the silage quality with high nutrients by the presence of lactic acid bacteria. In this study, lactic acid bacteria RJ1 and S22 were used to make the silages from different leguminous plants such as alfalfa, hairy vetch and red clover.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control and LAB inoculated groups. LAB inoculated group; all legumes treated with a mixture of RJ1 and S22 and made an anaerobic condition for 45d. Without the addition of LAB considere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actic acid content was higher in all silages in response to LAB treatment and acetic acid content was slightly increased except red clover by LAB compared to control silages. A poor silage quality marker butyric acid was reduced all legume silages in response to LAB inoculation than control silages. The organic acid is closely associated with microbial population experimental silages. We noted that higher LAB and lower yeast were found in the silage in response to LAB treatment.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CP), acid detergent fiber (AD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were not altered significantly between control and LAB treated silages. Overall data suggested that the inclusion of additional LAB potentially enhance the silage quality and preserved the nutrients for long period.
The bean bug, Riptortus pedestris (F.) (Hemiptera: Alydida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lyphagous pests in soybean in Korea and Japan. Wit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the suitability of different diets, we additionally tested two leguminous plants as food sources of R. pedestris by assessing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the bugs. The tested diets include seeds of acacia, two mung bean varieties (var. Eoul and Dahyeon), and soybean (var. Daewon). Riptortus pedestris fed on mung bean var. Eoul showed higher nymphal mortality than those fed on mung bean var. Dahyeon, acacia, and soybean. On acacia, development time and preoviposition period of R. pedestris was shortest among the tested diets Also, five day fecundity the highest in bugs fed on acacia seeds. These results showed that acacia seed can be a good quality diet for R. pedestris, and both acacia and mung bean could be a suitable host resources for R. pedestris during the period when soybean, a major host crop, is unavailable.
두류의 품종별 담배거세미나방의 유충사육에 따른 용발육 및 성충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의 용기간은 8.7~9.5얼로 강낭콤 및 동부에서 짧았으며, 두유콩, 새알콩 및 선화녹두에서 길었고, 암컷의 용기간이 수컷보다 약 1일 짧았다. 전용기간은 약 1.7~2.0일이었으며, 후용기간은 약 6.7~7.7일 이있다. 용무게는 0.23~0.38g 으로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 무거웠다. 용무게의 변화율은 검정공-1호에서 11%로 가장 낮았으며, 부광콩에서 16%로 가장 높았다. 성충수명은 약 7.8~11.2일로 강낭콩에서 가장 짧았으며, 부광콩에서 가장 길었고, 암컷의 수명이 수컷보다 약간 긴 경향이었다. 엽수분과 용이간, 용무게 및 성충수명과는 유의한 관계가 인정되었다.
두류 품종별 잎특성에 따른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발육과 식엽량을 조사하였다.유충 기간은 검정콩 l호에서 11.5일로 가장 짧았으며, 대광땅콩에서 15.7일로 가장 길어어 두류 품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유충의 영기별 발육기간은 l령에서 3 .2~5.0일로 가장 길였으며, 4령에서 1.0- I.5일로 가장 짧았다. 유충의 식엽량은 영기가 증가함수록 현저하게 증가하여 마지막 6 령기 동안의 식엽량이 유충기간 총 식엽량의 약 55~74%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유충의 성별 식엽량은 수컷보다 암컷에서 많은 경향이었다. 하지만 유충의 사망율과 성비는 두류 품종별 식엽량과는 관련이 없었다.
본 실험은 강원도 영서지역에서 맥류 수확 후 가을채소 파종까지 휴경을 하게 될 경우의 여름 휴경지 관리방안으로 가을채소용 두과녹비작물의 도입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여름철 휴경을 할 경우 주요 잡초는 바랭이, 방동사니, 쇠비름 그리고 털비름 등 비두과 식물로, 자연적인 두과식물의 출현은 없었다. 2. 두과식물을 6월 중순 로타리 경운 후 파종할 경우 동부와 예팥은 출현율이 높았으나, 돌콩과 헤어리벳치는 출현율이 낮았으며, 동계일년생 두과녹비작물인 헤어리벳치는 하계잡초와의 경합에서 도태되는 경향이었다. 3. 만성형식물인 동부는 잡초의 생육을 가장 크게 억제하였으며, 만성 예팥이나 돌콩, 그리고 헤어리벳치보다 생육량이 많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기상조건에서 여름철 휴경을 할 경우 두과식물의 인위적인 파종이 필요하며, 동부는 여름철 휴경지의 녹비작물로서의 이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