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쌀밥 위주의 식사에서 곡류 또는 두류를 혼합한 잡곡밥의 섭취량이 늘고 있는 추세로 백미(대조군)와 혼합잡곡(혼합잡 곡 1), 혼합잡곡에 정미성분을 가미한 잡곡(혼합잡곡 2)을 제 조하고, 이들의 항산화 활성을 갖는 성분들의 함량 변화와 기 호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Ascorbic acid의 함량에서는 백미의 경우, 6.68 mg%, 혼합잡곡군은 각각 18.23 및 21.84 mg%로 잡곡을 혼합하였을 때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Tocopherol류 의 함량에서는 백미는 1.26 mg%, 혼합잡곡 1군은 19.24 mg% 이었고, 혼합잡곡에 정미성분을 가미한 혼합잡곡 2군은 39.32 mg%로 가장 높은 tocopherol류의 함량을 보였다.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에서 대조군은 2.20 mg%, 혼합잡곡군은 각각 14.38 및 21.91 mg%로 혼합잡곡군이 높은 함량을 보였다. Flavonoid 화합물의 함량은 대조군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혼합잡곡 1군은 42.45 mg%, 혼합잡곡 2군은 32.54 mg%로 잡 곡 혼합 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성분들은 메탄올 추출물에서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기호도에서는 맛, 향, 색 및 종합적 기호도에서는 모두 정미성분을 첨가하였던 혼합잡곡 2군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고, 잡곡밥, 백미의 순으로 백 미보다는 곡류 및 두류 및 정미성분을 혼합하는 것을 더욱 선호하였다.
        4,000원
        2.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conduct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xtruded noodles(EN) mixed with cereals. The EN were evaluated for cooking properties(weight, water absorption, volume, and turbidity), Hunter`s color values, texture characteristic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The cooked weight, water absorption, and volume of the cooked E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relative to that of control noodles, whereas the turbidity increased. Hunter`s color L- and b-value of EN were decreased compare with the control noodles, but a-value was increased. Hunter`s color L-value of cooked EN was increased, whereas a- and b-value was increased. The texture characteristics(hardness, adhesiveness, springi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the cooked EN-2 and EN-3 were similar to the cooked control noodles. A sensory characteristics (appearance, flavor, texture during mastication, taste, and overall quality) of EN-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relative to that of control noodles, but EN-2 and EN-3 was not different to control noodle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extrusion processing could be used to make the EN mixed with cereals.
        4,000원
        3.
        201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잡곡을 이용한 다양한 제품 개발 및 활용성 증대의 일환으로 혼합잡곡분말을 제조하고 이들의 영양성 및 기능성을 측정하였다. 혼합잡곡분말은 조단백질과 조지방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혼합잡곡 분말의 주요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였으며, 혼합잡곡분말 B가 가장 높은 유리당 함량을, 혼합잡곡분말 D가 가장 높은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주요 무기질은 칼륨(K), 마그네슘(Mg), 칼슘(Ca)으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9.27~52.94 mg/100 g, 2.53~4.94 mg/100 g 범위로 비율에 따라 미비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혼합잡곡분말 F가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냈다. 혼합잡곡분말의 DPPH radical 소거능과 환원력은 혼합잡곡분말 C가, ABTS radical 소거능은 혼합잡곡분말 D가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 시료 C와 D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영양성과 기능성이 높은 혼합잡곡분말 제조를 위해서 시료 D와 같이 보리, 기장, 수수, 율무를 2:2:1: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