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orest activities on the movement skills, fine muscle functions and prosocial behaviors of childre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12 children, aged 8 to 10,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of whom were either autistic or had an intellectual disabilit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 half and designat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or to the control group. The Forest Activity program was carried out once a week (from 10 a.m. to 12 p.m) for 10 weeks in a forest near D school in Seoul. Gross Motor Skill (MSTB-B), Fine Motor Skill, and prosocial behavior (PBSYC) was used as measuring tools to test the effects of the Forest Activity program on the participants. The application of the Forest Activity program showed improvements in flexibility and equivalence areas of Gross Motor Skill; as well as improved fine motor skills in accuracy and stability areas of small muscle function; and finally, there was an increase of prosocial behavior in 5 areas out of a total 7 areas (leadership, providing assistance, communication, empathy, proximity seeking). This study supports previous research in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applying forest activities, such as the forest healing program, to enhance physical and mental stability.
본 연구는 한국형 기본운동기술 평가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첫 단계로 물체조작운동의 평가 내용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먼저 TGMD-2(Ulrich, 2000)와 선행 연구의 발달 단계(Seefeldt 등, 1982; Roberton 등, 1984)를 토대로 평가 내용을 구성한 후, 여섯 명으로 구성된 운동학습 및 발달 분야 전문가 회의를 통하여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수정된 평가 내용은 TGMD-2와의 공인타당도 검증과 기술 수준(상, 중, 하)에 따른 수행 점수의 평균차이검증을 통해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세 명의 평가자 점수의 일치도를 산출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위하여 초등학생 1학년에서 6학년까지 남녀 아동 총 240명의 여섯 가지 동작(던지기, 받기, 차기, 치기, 드리블, 굴리기) 수행 장면을 촬영하고 이 영상을 편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평가 내용에 따른 점수와 TGMD-2 점수간의 상관계수가 .599(2차 평가표)에서 .821(최종 평가표)로 높아지고, 여섯 가지 동작 모두 기술 수준에 따라 수행 점수의 평균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평가 내용의 구성이 취학 후 아동의 물체조작운동기술 수준을 평가하는 데 타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세 명의 평가자간 신뢰도 값이 69.46%(2차 평가표)에서 85.91%(최종 평가표)로 높아졌으며, 여섯 가지 동작 모두 85% 내외의 높은 일치도를 보여 평가 내용의 신뢰도가 확보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구성된 물체조작운동기술의 평가 내용은 현재 진행 중인 한국 아동의 기본운동기술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중요한 콘텐츠로 활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