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ot-knot nematode (RKN), Meloidogyne incognita, inflicts significant greenhouse crop damage, causing over 40% economic losses. While chemical agents effectively control RKN, they leave harmful residue in soil and crops. To address this issue, we investigated soil-derived entomopathogenic fungi (EPF)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nematicidal impact of ten EPF species through in vivo and in vitro tests. Beauveria bassiana JEF-503 exhibited nematicidal effectiveness exceeding 65% in both experimental settings. In a semi-field test using greenhouse pots, we experimented with the application of B. bassiana JEF-503 suspension during tomato growth, which is an uncommon practice in comparison to chemical treatments due to residue concerns. B. bassiana JEF-503 was applied during transplantation, and the same application was repeated four weeks later. JEF-503 One-time and abamectin treatments were used as control groups. The JEF-503 two-time application notably reduced root damage compared to single JEF-503 or abamectin treatment. In conclusion, JEF-503 offers a promising, residue-fre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lternative to chemical agents for RKN management.
사탕무씨스트선충(Heterodera schachtii)은 최근 우리나라의 배추 재배지의 문제선충이다. 본 연구는 사탕무씨스트선충의 밀도와 배추의 묘 령이 사탕무씨스트선충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접종농도가 높은(4마리 유충 또는 알/g 토양) 처리에서 씨스트 수나 암컷 또는 알 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40일 묘령 배추에 고밀도 선충 접종 시 30일이나 60일 후 다른 어린 묘령 배추(파종처리, 20일묘, 30일묘)에 비하여 증식 선충 밀도가 높았다. 높은 선충 밀도 조건에 묘령이 오래 된 모종 식재 시 선충 증식율이 높기 때문에 사탕무씨스트선충 관리를 위해서 는 정식 모종의 묘령 고려가 필요하다.
Five nematophagous fungi were evaluated for their nematicidal effect in vitro on Rhabditis sp. and Meloidogyne hapla in soil. Inocula of Arthrobotrys arthrobotryoides, A. conoides, A. oligospora, Dactylella lobata, and Fusarium oxyaporum were grown in moistened corn-sandy soil and chopped potato-sandy soil media, and incubated at 26 for one week. The prepared inocula were incorporated in autoclaved sandy soil, mixing thoroughly at rates equ-invalent to 1:50, 1:100, 1:200, and 1:400, repectively, before 80g of the mixture carrying 100 Rhabditis sp. was put into petri plates. Nematophagous fungi effectively teduced the popuation of Rhabditis sp. in soil in a week or two following treatment of the incula at concentration of 1:50 and 1:100. The optimum was at for nematicidial effect as high as 80-100%. The at the rate of 1:100 prepared incula were incorporated in auto-claved soil, where 100 Juveniles M. hapla were introduced per 80% soil. All fungi infected the M. hapla effectively in soil, caysing more than 90% mortality within one week. This result indicated the potential value of these fungi as promising biocontrol agents
Aldicarb와 carbofuran 두 가지 살선충제의 콩시스트 선충초기밀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하여 각약제의 선충의 생존, 침입 및 생식에 대한 결과를 온실보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Ajdicarb은 선충의 생존(활력)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나 carbofuran은 선충의 활력에 결과가 없었다. 선충의 침입저지결과는 두 약제 모두 우수하였다. 약제처리에 의한 선충의 침입률은 대조구에 비해 aldicarb의 경우는 0.4%, carbofuran의 경우는 1.7%였다. 선충출입후 콩뿌리내의 선충생장에 미치는 영향, 즉 살선충제의 침투성결과는 두 약제 모두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고, aldicarb이 carbofuran 보다 그 결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선충에 오염된 토괴에 유묘이식시 살선충제를 처리한 결과, 각약제 처리구에서 cyst 형성율은 저 하되 었으나(p=0.05), 선충의 生存, 침입 및 생식에 미치는 살선충제 영향의 합계보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is a virulent pest of solanaceaous crops worldwide. The M. incognita resistance gene Me7 derived from Capsicum annuum CM334, is located on chromosome 9. In the present study, an F2 population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ECW03R and CM334 was used to locate the Me7 gene. An F2 population was inoculated using approximately 1,000 second-stage juveniles per individual plant. Phenotype screening was done 45 days after inoculation by using gall index system. The phenotype study of 503 F2 individual showed 391 resistant and 112 susceptible plants. The 3:1 phenotypic ratio confirmed that resistance phenotype is controlled by a single dominant gene. Previously reported two markers were tested to reveal the linkage of markers to phenotype. Two markers, CAPS_F4R4 and SCAR_PM6a were located at 4.3 and 2.7 cM from the resistance gene, respectively. Additional SNP markers were developed using CM334 reference genome information to narrow down the position of the gene, but no closer markers could be developed due to errors of DNA sequence assembly. The closest marker was positioned on telomere of the chromosome 9 long arm, where tens of other NB-LRR genes are clustered. NB-LRR genes are being used as candidates to identify the Me7 gene.
콩을 연작해온 밭토양에 경명을 재배하므로써 토양선충밀도를 줄일 수 있으며 이것이 콩생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기 위하여 콩단작구, 결명단작구, 콩-결명혼작구 및 간작구를 만들어 1년간 재배한 후 그 자리에 3년동안 콩을 재배하면서 선충밀도와 콩의 생육을 조사하엿다 1. 콩단작구에 비하여 결명혼작구 및 간작구에서 토양선충밀도는 크게 낮았고 결명단작구에서는 결명의 생육이 왕성해지면서 토양선충이 완전히 없어 졌다. 2. 결명단작구에 이듬해부터 콩을 계속 재배했어도 토양선충의 밀도는 아주 낮았고 결명혼작고 또는 간작구에 콩을 계속 재배하여도 3년차까지는 콩연작구보다 선충밀도가 훨씬 낮았다. 3. 결명의 뿌리에는 뿌리혹이 착생하지 않는것이 특징인데 콩과 결명을 혼작 또는 간작하여도 콩뿌리에 형성된 뿌리혹의 수는 콩단작구와 차이가 없었다. 4. 콩 성열기의 주당입수, 주당입수 및 주당입중은 결명과 혼작 또는 간작하여도 콩단작구와 차이가 없었다. 결명단작구, 혼작구 및 간작구의 뒷자리에 이듬해부터 콩을 재배한 결과 2년차까지는 콩연작구보다 생육이 더 좋았다.
벼뿌리선충(H. imamuri)의 밀도별 피해 정도와 경제적 피해 수준을 결정하고자 밀양 2003를 공시하여 폿트 시험으로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의 분벽은 폿트당 선충 5,000마리 이상 접종에서 감소를 보였다. 2. 선충 접종 2개월 후부터 벼의 생육 특히 뿌리 무게에 많은 영향(40.7% 감소)을 주었으며 출수기는 6일 정도 지연되었다. 3. 선충 20,000마리 접종 폿트에서 수수, 1,000립중, 등숙비율 등이 감소되어 31.2%의 감수를 보였다. 4. 선충 접종 밀도에서는 폿트당 5,000마리 수준에서부터 생육 및 수량에 영향을 주었고, 피해한계밀도는 8월 30일에 조사한 것을 기준으로 하면 벼 뿌리 생중 30g당 1,500마리 정도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