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 미술은 시각 중심에서 다감각적 경험으로 확장되며, 감각을 통한 인식과 참여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 서 다감각적 예술 경험이 관객의 주체성과 자율성 형성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고찰하기 위해, 본 논문은 김민지, 박호은, 현세진의 작업을 사례로 다양한 감각을 통해 유도되는 신체적·감각적 개입과 그 구조, 맥락, 관객의 감각적 경험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관객의 감각 경험이 신체적 자각을 출발점으로 삼아 감각의 확장과 전이, 환경 및 사회적 맥락과 상호작용하며 자기인식과 해석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미학, 심리학, 신경과학, 정치학 등 다학제적 관점에 기반하여, 다감각적 경험의 층위와 관객 주체성의 형성과 확장 과정을 조명하였으며, 다감각적 예술 경험이 단순한 참여나 인터렉션의 형태로 소비되는 데 머무르지 않고, 관객이 기존의 관습이나 구조에 대해 성찰하고 질문하며 이견을 형성하는 주체적 존재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나아가, 다감각적 경험이 관객으로 하여금 수동적 감상자를 넘어 자신의 감각과 신체, 환경과의 관계에서 주체적으로 의미를 재구성하고 자기화할 수 있는 실천의 통로로 작용함을 제시한다.
        6,400원
        2.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esently unexplored) relationship between a peculiar kind of performing art, i.e. opera (as in the Western musical tradition), and the fashion and luxury business within the context of fashion cities. In particular it investigates, on the one hand, how the relationship with opera production may benefit the marketing strategy of luxury companies and, on the other hand, how opera houses may profit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luxury industry. As a preliminary work, introducing a new research project, its aim is to provide a tentative systematization and clarification of the research questions and to stimulate an early discussion of their consistency and relevance. Three sets of research questions are proposed for discussion and further exploration, concerning: a) the audience segmentation of opera as experiential luxury (based on self-congruency theory) and its implications; b) the luxury industry as opera sponsor; c) integrating opera in luxury marketing strategy (brand heritage vs. opera heritage).
        3.
        2010.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에서는 공연이벤트 특성의 스폰서십갈등관리전략의 연구자별 연구를 통하여 각 개념을 정립한 후, 공연이벤트 스폰서십갈등관리 요인과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결과를 요약해보면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설정한 가설은 공연이벤트특성은 스폰서십갈등관리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스폰서십 갈등요인으로 설정된 이벤트, 재정적 지원, 목표달성, 사업적 관계, 커뮤니케이션, 마케팅서비스의 특성은 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공연이벤트, 스폰서십갈등관리 특성에 대한 타당성 검증의 최종문항 선택은 요인적재량이 0.5이상인 경우를 기준으로 하였다. 신뢰도 검증은 공연이벤트 특성에 대한 공통요인들의 크론바하의 알파 값은 0.7285 0.8574로서 대체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연구모형에서 종속변수인 정서적 이미지에 대한 크론바하의 알파 값도 0.9524 0.9180으로 매우 우수한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결과변수인 공연이벤트 스폰서십에 대한 관계성과의 크론바하의 알파 값은 0.8677 0.8795로서 매우 좋은 결과를 보이므로, 본 연구모형을 통해 잠재적인 요인구조를 설명할 문항들은 전반적으로 신뢰도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가 다루고 있는 공연이벤트(공연기획) 예술경영학문은 아직 초기의 단계의 단계에 있으므로 학문적 완성도가 높지 않다는 것이 지적되며, 본 연구 결과가 많은 시사점을 도출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연이벤트의 스폰서십갈등관리전략에 관한 연구는 논제가 복합적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어 각각의 정의가 광범위하다보니 연구의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기존의 공연이벤트와 스폰서십의 관계성과에서 초점이 맞추어진 신뢰, 몰입의 요소를 포괄적으로 접근하는 측정요소를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화하게 할 필요가 제기된다. 공연이벤트 스폰서십의 관계성과에 대한 스폰서와 피 스폰서의 인식 차이에서 발생하는 요인들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하며, 공연이벤트 스폰서십을 통해 발생하는 스폰서의 심리적 변인과 실체적 결과에 대한 명확한 측정요소의 개발이 향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후속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본 논문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과 성과를 이루기를 기대한다.
        7,800원
        4.
        201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article art performing applications of industrial dual-arm robots are introduced. It was real collaboration among robot researchers and artist. Artist designed the performance to use dual-arm robot. Robot researchers collaborated with artist by providing robotic constraints and configuring robot motion. Two art performances were configured with two industrial dual-arm robots. In both performance robots carry objects to be used as moving screens. Both performances rely on the high power and high precision of robots. In addition human-like appearance make those performances be familiar to 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