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중성용액 하에서 알루미늄 합금은 부동태피막(Al2O3나 Al2O3·3H2O)을 형성한다. 그러나, 해수 환경에서 염소이온이 표면에 생성된 부동태 피막을 파괴하여 부식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해수환경 하에서 부식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Al-4.5%Mg-0.6%Mn 알루미늄 합금에 대하여 정전위 방식 기술을 적용하였다. 분극실험결과, 개로전위보다 귀한 전위에서는 활성 용해 반응이 나타났으며 개로전위 보다 비한 전위에서는 용존산소 환원에 의한 농도 분극과 활성화 분극이 관찰되었다. 정전위 실험결과, 농도 분극에서 활성화 분극으로 전환되는 전위부터 적용 시간이 증가할수록 전착물이 많이 생성되었으며, 부분적으로 전착물과 모재의 계면사이에서 틈부식이 관찰되었다. 전체적으로 정전위 양극분극실험시, 활성용해반응이 발생하여 정전위 방식 기술을 적용하기 어려운 반면, 정전위 음극분극 실험시 방식 전위인 농도분극 범위내에서 적용 시간을 고려하여 최적 방식 조건을 -1.1 V~-0.75 V로 규명하였다.
The potentiostatic titration method is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for determining the total uranium assay in high-concentration uranium samples. A notable approach is the Devies-Grey titration method, which was first reported in 1964. In the U sample treatment process of this method, the reduction of U(VI) by Fe(II) is initially a non-spontaneous reaction based on the reduction potentials of the two half-reactions. However, in a high-concentration phosphoric acid medium, the reduction potential of Fe(II) is enhanced, simultaneously increasing the reduction potential of U(VI). As a result, the redox reaction becomes spontaneous due to these dual effects. On the other hand, the reaction kinetics can elucidate why nitric acid does not oxidize U(IV) during the oxidation of Fe(II) to Fe(III). Furthermore, the role of Mo(VI)/Mo(V) as a redox enhancer, employed alongside nitric acid, can be comprehended through electrochemical means. Similarly, the function of V(IV) as an electrochemical enhancer, aiding the action of the Cr(VI) titrant, becomes understandable. Grasping the various phenomena that manifest during the titration process is imperative for refining existing titration methods and pioneering new o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