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nalyzed and presented zooplankton species occurrence, diversity distribution, and community composition in ninety lakes across South Korea using samples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of Lake Aquatic Ecosystem Status and Health Assessment.” When comparing our results with the National Species Checklist, we identified factors within each of the three taxa that warrant improvement due to their influence on diversity assessments.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ongoing lake ecosystem surveys and the continually updated National Species Checklist-and to enhance the accuracy of diversity evaluations-we conclude that (1) greater taxonomic rigor must be reflected in the national checklist, and (2) the limitations of morphology-based identification (α-taxonomy) must be addressed. Because the National Species Checklist does not distinguish among species, subspecies, and morphospecies, it can give rise to taxonomic oversplitting and taxonomic inflation, leading to ambiguous diversity-index results. Moreover, the low resolution of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for zooplankton (at the genus, family, or class level) can introduce errors when comparing communities across habitats or detecting non-native introductions. Although alternatives such as environmental DNA and functional diversity exist, they require further refinement before being adopted in policy; therefore, they should be implemented alongside and in comparison with current aquatic ecosystem health assessment methods.
이 연구는 한국 중부지방 용인과 남부지방 무안에서 봄 출현 나방의 다양성 양상과 나방 종 및 개체수에 영향을 주 는 기후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나방은 2013년 부터 2015년까지 4월 한 달 동안 일주일 간격으로 자외선등 트랩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기후요인은 8℃를 기본으로 한 적산온도 (GDD8), 평균온도, 강우량, 일조시간, 풍속, 신적 설 등이다. 나방 종 수 및 개체수에 영향을 주는 기후요인은 단기 (채집주부터 3주전까지)와 장기 (채집 4~12주전)로 나 누어 분석하였다. 봄 출현 나방은 과 구성에서 유사한 양상 을 띠었지만 지역별로 우점한 과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자나 방과는 중부지방에서 우점한 반면 밤나방과는 남부지방에서 우점하였다. 밤나방과의 우점종은 4월 초에 나타난 반면 자 나방과의 우점종은 4월 말에 나타나 시간적인 차이도 나타 내었다. GDD8, 일조시간, 채집 일주일 전 강우량 등 3개의 단기 기후요인은 나방 종 수 및 개체수에 영향을 준 요인으 로 나타난 반면 채집 4주전 평균기온만 장기 기후요인으로 나방 종 수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한 국에서 봄 출현 나방으로 자나방과와 밤나방과 종이 우점하 며 이들은 4월 중 우점도와 비행시기에 차이가 있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봄 출현 나방은 따뜻함과 강우량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기후변화는 봄 출현 나방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이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