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 시상은 천체관측을 진행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의 평 균 시상이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그 시상이 계절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밀양아리랑우주천 문대의 0.7m 망원경을 이용해 관측을 2 4회 진행했으며, 그 관측은 2 02 2년 6월부터 2 02 3년 5월까지 진행됐다. 그 결과, 측정된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의 연평균 시상은 3.1"±0.8"이었다. 계절별로는 여름철의 평균 시상이 2.2"±0.3"로 가장 좋 았으며 이어서 봄(2.8"±0.4"), 가을(3.1"±0.7"), 겨울(4.1"±1.1"), 순으로 시상이 좋았다. 이러한 결과는 부산에 위치한 한 국과학영재학교 천지인천문대에서의 시상 계절 변화와 비교해 논의했다. 추가적으로 시상이 풍속 및 미세먼지 농도와 관계가 있는지 조사해 보았으나, 뚜렷한 상관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다. 향후에는 시상 관측 자료와 기상 정보를 장기적 으로 종합해, 시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이 무엇인지 보다 자세히 규명하고자 한다.
경남 지역의 단감원에서 20002001년에 수은유아등과 2001년에 갈색날개노린재의 집합페로몬(methyl (E, E, Z)-2, 4, 6-decatrienoate)) 트랩을 이용하여 갈색날개노린재(Plautia stali)와 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ha halys)의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유아등 조사결과 썩덩나무노린재는 6월 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8월 상ㆍ중순이 최성기이었다. 갈색날개노린재는 썩덩나무노린재와는 달리 유살 최성기가 뚜렷하지 않았는데, 主 유인시기는 2개년 모두 7월 중순8월 하순이었다. 두 종 모두 9월 이후에는 거의 유살되지 않았다. 집합페로몬 트랩에 의한 유살 양상은 유아등에 의한 유살양상과 달랐다. 집합페로몬 트랩조사 결과, 두 종 모두 5월 중순부터 8월 하순까지 꾸준히 유인되었다. 썩덩나무노린재는 유인수가 적어 주 발생시기가 뚜렷하지 않았고, 갈색날개노린재는 지역에 따라 6월 하순부터 8월 하순 사이에 많이 유살되었다. 갈색날개노린재는 수은유아등 보다는 집합페로몬 트랩에, 썩덩나무노린재는 수은유아등에 더 많이 유인되었다. 또한 집합페로몬 트랩에는 두 종 모두 수컷보다 암컷이 더 많이 유인되었다. 두 종류의 트랩에 의한 유살소장 차이의 원인을 탄닌함량과 연관지어 고찰하였다.
The equatorial region of the Earth’s ionosphere exhibits large temporal variations in electron density that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on satellite signal transmissions. In this paper, the first observation results of the variations in the trough of the equatorial ionospheric anomaly at the permanent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site in Chuuk (Geographic: 7.5° N, 151.9° E; Geomagnetic: 0.4° N) are presented. It was found that the daytim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otal electron content (TEC) values vary according to the 27 day period of solar rotation , and that these trends show sharp contrast with those of summer. The amplitudes of the semi-annual anomaly were 12.4 TECU (33 %) on 19th of March and 8.8 TECU (23 %) on 25th of October respectively, with a yearly averaged value of 38.0 TECU. The equinoctial asymmetry at the March equinox was higher than that at the October equinox rather than the November equinox. Daily mean TEC values were higher in December than in June,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annual or winter anomalies. The nighttime GPS TEC enhancements during 20:00-24:00 LT also exhibited the semi-annual variation. The pre-midnight TEC enhancement could be explained with the slow loss process of electron density that is largely produced during the daytime of equinox. However, the significant peaks around 22:00-23:00 LT at the spring equinox require other mechanisms other than the slow loss process of the electron den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