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밀가루 코오지 대신 콩 코오지를 이용하여 된장을 제조하기 위해 콩 코오지에 이용할 종균을 분리, 선정하고 이를 이용한 된장을 제조하여 품질 변화 및 관능검사를 조사하였다. 재래식 메주로부터 amylase 및 protease 활성이 우수한 세균과 곰팡이를 분리 및 동정한 결과 A. oryzae 6-M-1과 B. subtilis 3-B-1이었다. 분리, 선정된 세균 및 곰팡이를 이용하여 30℃에서 40일간 제조한 된장의 숙성 중 품질변화 중 수분함량은 숙성 초기에 59.86∼61.58%(w/w)이었고 숙성 25일째를 경과하면서 수분함량의 감소폭이 컸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숙성기간 동안 꾸준히 아미노태질소가 증가하며, 숙성 10일이 경과하면서 300 mg%(w/w) 이상 생성하고, 색도는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B. subtilis 3-B-1으로 제조한 코오지를 이용한 된장보다A. oryzae 6-M-1로 제조한 코오지를 이용한 된장의 색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환원당은 숙성 30일 이후에는 급격히 증가하여 숙성 40일경에는 9.01∼15.40%(w/w)였다. 생균수, 곰팡이 및 효모수는 숙성 초기부터 꾸준히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5% 수준에서 맛, 향, 색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시판된장과의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시료간의 차이가 없었다. 이런 결과는 밀가루 코오지 대신 콩 코오지로 된장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였다.
        2.
        201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stablish the optimal manufacturing conditions of soybean koji, soybean Koji prepared with Aspergillus oryzae 6-M-1 and Bacillus subtilis 3-B-1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meju. During 7 days of making Koji, the amount of amino-type nitrogen was getting more increase. The amount of amino-type nitrogen of Koji prepared with A. oryzae 6-M-1 was 686.16 mg% (w/w), that of Koji with B. subtilis 3-B-1 was 643.46 mg% (w/w) at seventh day of making Koji. The α-amylase activity of Koji prepared with A. oryzae 6-M-1 was 1472.54 unit/g, that of Koji with B. subtilis 3-B-1 was 791.00 units/g on the seventh day of the making. The acidic protease activity of Koji prepared with A. oryzae 6-M-1 was 309.00 unit/g, that of Koji with B. subtilis 3-B-1 was 135.88 unit/g at 7th day of making. The amount of amino-type nitrogen and enzyme activities of soybean Koji prepared with A. oryzae 6-M-1 and B. subtilis 3-B-1 were produced more than those of wheat flour Koji made in factory. Sensory evaluation on a commercial doenjang and doenjangs prepared with A. oryzae 6-M-1 and B. subtilis 3-B-1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3.
        2003.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두부폐기물인 비지와 M. Pilosu를 이용한 홍국제조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건조분말 비지에 20%양의 물을 첨가하여 증자한 비지에 glucose(0∼10%), monosodium glutamate(0∼0.1%), 감귤과피물추출물(감귤과피 양으로 0∼0.5%)의 첨가에 따른 색소 및 monacolin K 함량을 조사하였다. Glucose 첨가량을 10%로 하였을 때 색소 생성량이 O.D.1.06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 때의 monacolin
        4.
        2002.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oryzae 코오지로 담근 간장(SAO), M pilosus-1 코오지 담근 간장(SMP) 및 이들 코오지를 50%씩 혼합하여 담근 간장(SAM)의 숙성 중 품질을 평가하였다. 90일간 숙성시킨 간장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SAO>SAM>SMP 순서로 SMP에서 가장 낮았다. SAO, SMP 및 SAM의 총 질소 함량은 각각 1.15, 1.22 및 1.36%로 SAM에서 가장 높았다. SAM의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