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태백산 분지에 분포하는 탄산염 및 규질쇄설성 혼합 퇴적물로 구성된 세송층(late Middle Cambrian to Furongian)은 δ 13 C값이 1.14에서 2.81‰을 갖는 SPICE (Steptoean positive carbon excursion)를 15 m 두께의 층서구간 에서 보여준다. SPICE는 Fenghuangella laevis대, Prochuangia mansuyi대 그리고 Chuangia대로 구성된 삼엽충 생물대 에서 산출되며 이는 Paibian Stage의 하부에 해당된다. 세송층은 엽층리 이암, 단괴상 셰일, 엽층리 사암, 균질사암, 석 회역암, 석회암-셰일 쌍을 포함한 6개의 암상으로 구성된다. 세송층은 폭풍파도기저면 아래의 외대륙붕에서 퇴적된 것 으로 알려져 있다. 시기적으로 Paibian Stage에 속하는 SPICE는 세송층에서 고수위 퇴적계 다발, 대비 정합면과 해침 퇴적계 다발에서 발견된다. SPICE의 최대 안정 탄소 동위원소 값은 상대적인 해수면 하강에 의해 형성된 대비 정합면 과 일치한다. 세송층에서 SPICE의 산출은 SPICE가 화석의 산출이 결여된 지층의 전세계적 대비를 위해 사용될 수 있 는 도구임을 암시한다.
        4,800원
        2.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황해 경기만은 제4기에 반복된 해침과 해퇴로 4개의 해침-해퇴 퇴적체(DS-1, DS-2, DS-3, DS-4)를 형성하였다. 본 연구는 황해 경기만 퇴적체의 형성을 6개 퇴적단계로 나누어 설명한다. A 단계는 MIS-6 저해수면 시기로서 큰 규모의 해수면 하강으로 인해 대부분의 지역이 대기에 노출되고 광범위한 하도 침식 및 풍화작용의 영향을 받았다. 이어지는 B 단계는 MIS-5e 까지 빠른 해수면 상승과정에서 MIS-5 시퀀스의 하부 해침퇴적체가 형성되었고, 다음에 이어지는 MIS-5d부터 MIS-4 저해수면 시기까지의 C 단계에서는 MIS-5 시퀀스의 상부인 해퇴퇴적체가 만들어졌다. 다음의 D 단계는 MIS-4 저해수면 시기부터 MIS-3c 고해수면 시기까지로 하도 침식 및 하도 충전 구조로 이루어진 MIS-3 해침 퇴적체가 형성되었다. 다음의 E 단계에서는 LGM 시기까지 계속적인 해수면 하강이 있었고 외해쪽에서는 천해 기원의 MIS-3 해퇴퇴적체가 만들어진 반면에, 내륙쪽에서는 노출된 환경에서 하도 충전 퇴적체나 범람원 퇴적체가 형성되었다. 마지막 단계인 F 단계는 황해 전체적으로 홀로세 해침이 발생하였고, 이 시기에 외해쪽에서는 대륙붕 사질 퇴적체와 조석사주 퇴적체가 형성되어 고해수면 시기인 현재까지 퇴적이 일어나고 있다.
        5,100원
        3.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해 경기만 조석사주에서 획득한 고해상도 탄성파 탐사자료와 해상시추코어 분석에 의하면 연구지역의 제 4기 후기에 형성된 퇴적층은 총 4개의 퇴적단위(상부층부터 Unit I에서 Unit IV)로 구성된다. 퇴적단위 I은 조간대 및 조수로-충진 퇴적체로서, 홀로세 고해수면 시기동안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퇴적단위 II는 천해 퇴적상이 나타나는 외해역과 하천과 연계된 하성 퇴적상이 나타나는 조간대에서 조석사주 근접부로 나누어진다. 퇴적단위 III은 조석작용에 의한 조간대 퇴적환경 및 상부의 풍화된 퇴적층으로 각각 구분되며, 퇴적층은 산소동위원소 시기5동안 퇴적된 것으로 판단된다. 퇴적단위 IV는 조석사주 퇴적층의 최하부층으로 중생대 기반암 또는 산소동위원소 시기 5 이전에 퇴적된 층으로 해석된다.
        4,000원
        4.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eptoean Positive Carbon Isotope Excursion (SPICE) is found in the Machari Formation which was interpreted to have been deposited on the middle to outer carbonate ramp environment. The Machari Formation is the Middle to Late Cambrian in age and distributed in the Yeongweol area, Gangweon Province, Korea. The SPICE event in the Machari Formation begins with the first appearance datum of trilobite Glyptagnostus reticulatus and ends with the first appearance of datum of trilobite Irvingella. The SPICE is found in approximately 120 m thick sequence and δ13C values in the SPICE interval range from 0.6 to 4.4‰. The SPICE in the Machari Formation is interpreted to be caused by burial of organic matter in the sea floor and subsequent increase of 13C isotope of the Late Cambrian ocean. The SPICE interval in the Machari Formation corresponds to the highstand to transgressive systems tracts.
        4,900원
        5.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yeongan Supergroup can be divided into seven lithostratigraphic units (Moscovian to Early Triassic?) in the Samcheok coalfield and four lithostratigraphic units (Bashkirian to Artinskian) in the Yeongwol coalfield of South Korea. On the basis of fusulinid biostratigrapic data in the Yeongwol coalfield, the boundary between the Carboniferous and Permian strata of the Pyeongan Supergroup has been considered as unconformity since the Kasimovian and Gzhelian strata are missing. Protriticites and Triticites, which are the cosmopolitan index fusulinids indicating the Kasimovian and Gzhelian age, are not found from the uppermost part of the Geumcheon and Pangyo Formations. Recently some fusulinids such as Xenostaffella koreaensis, Hanostaffella magna, and Fusulina danyangensis found from the uppermost part of the Geumcheon and Pangyo Formations are recognized as the early Kasimovian-type fusulinids, although the upper Kasimovian- to Gzhelian-type fusulinids are still missing.
        4,200원
        6.
        200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송악산과 사람 발자국 화석지 주변에서 측정된 절대 연대 측정 결과와 야외 지질 조사를 근거로 할 때, 하모리-송악산 지역의 층서는 하부로부터 광해악 현무암, 명명되지 않은 퇴적층, 송악산 응회암, 하모리층 및 사구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자국 화석이 산출되는 사계리 지역은 하부로부터 광해악 현무암, 사람 발자국 화석 산출 지층 그리고 사구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모리층은 송악산 응회암이 형성된 후 퇴적된 지층이라는 규정과 절대 연령 측정 결과 및 현지에서 조사된 바에 의하면, 사람 발자국 화석이 산출되는 지층은 하모리-송악산 지역의 송악산 응회암층 상부에 놓이는 하모리층이 아니라 하부에 분포하는 명명되지 않은 퇴적층과 대비된다. 따라서 사람 발자국 화석의 형성 시기는 14C 측정 결과인 약 15,000년 전으로 해석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생각된다.
        4,200원
        7.
        200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Namyang Bay of western Korea, macrotidal-flat deposits are divisible into three late Quaternary units: Unit M1 of upper marine mud, Unit T1 of middle siderite-bearing terrestrial clay, and Unit M2 of lower marine mud. Unit M1 represents typical Holocene intertidal mudflat deposits, showing a coarsening-upward textural trend. It probably resulted from the continual retrogradation of tidal flat during the mid-to-late Holocene sea-level rise. Reddish brown-color Unit T1 consists of homogeneous clay with abundant freshwater siderite grains and plant remains. Unit T1 is clearly separated from the overlying Unit M1 by a sharp lithologic boundary. Radiocarbon age, siderite grains and lithologic features indicate that Unit T1 is originated from freshwater bog or swamp deposition infilling the localized topographic lows during the early Holocene age. Overlain unconformably by early Holocene swamp clay, Unit M2 is orange to yellow in color and mottled, suggesting significant degree of weathering during the sea-level lowstand. Such subaerial oxidation is confirmed in the vertical profiles of geotechnical properties, clay mineral assemblages and magnetic susceptibility. Unit M2 appears to be correlat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late Pleistocene tidal deposits developed along the western Korean coast. The sedimentary succession of the Namyang-Bay tidal-flat deposit provides stratigraphic information for the Holocene-late Pleistocene unconformity and also permits an assessment of the preservation potential of the late Pleistocene marginal marine deposit along the western coast of Korea.
        4,800원
        8.
        200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 사라봉-별도봉-화북봉 일대에는 3개의 분석구와 이들로부터 분출한 화산분출물들이 복잡한 화산 층서를 형성하였다. 또한 별도봉 응회암에는 현무암과, 제주도 기반암중의 하나인 화강암의 암편이 나타난다. 그리고 비석거리 하와이아이트(hawaiite)에는 케르수타이트(kaersutite)가 특징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제주도 화산활동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대상이 된다. 이 지역의 최하부에는 신흥리 현무암과 별도봉 응회암이 분포한다 별도봉 응회암에는 반상 현무암과 이 지역의 기반암인 화강암의 암편을 함유한다. 그 위에 화북봉 화산활동에 의해 각섬석류의 한 종류인 케르수타이트를 다량 함유한 비석거리 하와이아이트가 피복하고 그 다음에 화북봉 분석구가 형성되었다. 그 후에 사라봉 화산활동에 의해 사장석과 감람석이 많은 건입동 하와이아이트가 분출하였고 마지막으로 사라봉 분석구가 형성되었다. 별도봉 응회암내에 포획된 현무암은 신흥리 현무암과는 암상이 다른 반정질 현무암으로, 신흥리 현무암과 기반암 사이에 또 다른 현무암층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의 기반암인 화강암의 암편은 미르메카이트 조직(myrmekitic texture)과 미사장석을 보이며 K-Ar법에 의한 절대연령이 172.4Ma인 쥬라기 화강암이다.
        4,000원
        9.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ratigraphy and evolution of the intertidal deposit of Gunhung Bay, west coast of Korea, have been studied by analyzing surface sediments, core sediments and subbottom profiles. The surficial sedimentary facies consists of upper mudflat, mixedflat and lower mudflat from high tide level to low tide level. The tidal deposit above the acoustic basement is 5 - 20m thick and can be divided into two sedimentary sequences by a mid-reflector. The boundary of them is identified by long core data. The lower sedimentary unit (sequence B) consists of semi-consolidated, brown sandy muds and is interpreted to be deposisted during Riss-Wurm interglacial period. The upper sedimentary unit(sequence A), which overlies the sequence B unconformably, is about 10m thick and consists of Holocene intertidal sediments. The sequence A consists of mudflat facies at lower part and mixedflat facies at upper part. It indicates that the sequence A is a transgressive sequence. Many V-shaped erosional patterns at the unconformable contact of sequence A and sequence B indicate the existence of old tidal channels formed during the low sea level of the last glacial period. The long-term accumulation rate of sequence A is considered to be 2㎜/yr from core data and it is coincident with the accumulation rate determined by Pb-210 for the PVC core.
        4,300원
        10.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ratigraphy of the Cretaceous sedimentry rocks, trending NS and NNE-SSE, which is distributed in the Neungju Basin located in Jangseong-Sinangun Jangsando, Damyang-Hwasut~Jangheunggun Daedog, Gurye-Seungjugun Songchijae-Seungjugun Haeryong.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Bed rocks in study area are composed of gneisses, schists, quartzite, shistose granite and granite ; sedimentary rocks are mainly tuff, shale, sandstone and conglomerate in ascending order igneous rocks are andesite and rhyolite. The reddish shale and sandstone are alternated, and conglomerate are polygenetic ones in all Iocalities except Jangheunggun Daedog localities. 2. The stratigraphy of the study area can be expressed as Bed rocks, Ingog tuff, Seoyuri formation, Jangdong tuff, Uchi conglomerate, Dado tuff and Mudeungsan volcanic rocks in ascending order. 3. The geologic age of sedimentary rocks in the study area is upper Cretaceous and correlated with the Yucheon Formation of the Gyeongsang Supergroup
        4,000원
        11.
        198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area is the southwestern peripheral part of the KyoˇSngsang Basin.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Nakdong Formation is only 200m thick in this area and gradually thins toward the west. The Sindong Group is relatively coarse-grained here. The Chilgok Formation and the Silla Conglomerate Formation occur in the Changsoˇn Island, but they apparently entail toward the northwest and are no more so divisible in the northern vicinity of Namhae, where they are collectively called here $quot;Namhae Formation.$quot; The angular unconformity between the Yuchsoˇn Group and the low-lying formations is obvious in this area. The Changsoˇn Formation, the basal unit of the Yuchoˇn Group in this area, is composed mainly of andesitic rocks but contains in its upper part the Jijok Member composed of reddish tuffaceous sedimentary layers. Overlying the Changsbn Formation is a unique sedimentary facies of the Yuchoˇn Group. It is here called the Danghangri Formation, of more than 400m thick and composed mainly of pebbly and conglomeratic sandstones. The composition of the pebbles of the Danghangri Formation, i.e., gneiss, quartzite, andesite etc. connotes the dual provenances of the basement rocks and the penecontemporaneous volcanic rocks. The sandstones of the Sindong Group(38 samples) are mainly arkose or arkosic arenite and subordinately subgraywacke and subarkose. A sequential variation of composition is apparent from the Nakdong Formation dominated by subgraywacke to the Jinju Formation dominated by arkose.
        4,200원
        12.
        197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udy on the Carboniferous strata started in 1886, and that of Pusulinids in 1906. Stratigraphic study of the Korean Carboniferous strata in 1919 resulted in the four fold division of the Pyeongan System which embraces the Permo -Carboniferous, though a new scheme of subdivision of the Carboniferous has been proposed by the study of fusulinids in 1969. More than 60 species of Carboniferous fusulinids belonging to 20 genera have been described from South Korea. Of these fusulinids the Pseudostaffella-Neostaffella -Xenostaffella line shows an interesting development. Small Pseudostaffella gave rise to Pseudostaffella kimi which may have developed into the larger forms with the ooncave peripherise and concave umbilici. These are Neoataffella, N. hanensis, N. papilioformia, and N. magna. For these four-sided concave larger form8 a new subgenus name Hanostaffella is proposed. Genus Xenoataffella is the extremely squeezed form with the evolute outermost volution, though the other biocharacters are almost the same as in Hanostaffella.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