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한(東漢) 비각에는 적지 않은 『시경(詩經)』의 내용이 인용되어 있으나, 직금 전해지는『시경(詩經)』과는 다른 이문(異文)을 형성하고 있다. 이문의 유형은 통 자가, 고금자, 이체자, 동의환용(同義換用), 탈문(脫文) 등이다. 동한 시기의 비문 은 주로 “삼가시(三家詩)”를 인용하고 있는 것이다.
        4,900원
        2.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東漢碑刻引用了不少《詩經》成句,與今本《詩經》形成異文。異文類型有通假字、古今字、異體字、同義換用、脫文等。本文擬對這些異文進行較為全面的整理研究,研究目的主要有兩個:第一,漢碑作為實物文字資料,保留了當時的用字情況,對於這些用字方面的差異進行研究,可以從一個角度揭示當時社會的具體用字情況。第二,通過與已有其他《詩經》版本的比較,可以從一個方面瞭解當時社會使用《詩經》版本的情況。 示例:《校官碑》:“布政優優。” 《詩經·商頌·長髮》:“敷政優優。” 按:《韓詩外傳》引《詩》同今本《詩經》。《春秋左傳·成公二年》、《春秋左傳·昭公二十年》、《春秋繁露·偱天之道》、大徐本《說文解字》“憂”下、《孔子家語·正論解》等引《詩》均作“布政優優”,與東漢碑刻相同。《史記》引《尚書》“敷”字多作“布”。“布”與“敷”通。《山海經·海內經》:“禹、鯀是始布土定九州。”郭注:“布猶敷也。《書》曰堯敷土,定高山大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