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字構形學은 한자를 구성하는 단위의 개념을 규정하고 각 단위가 맺는 공시 적, 통시적 관계를 밝혀내어 관계를 지배하는 원리를 기술하는 학문이다. 1980년대 말에 한자구형학 이론이 정립된 후 2002년에 처음 출판된 漢字構形學講座부터 10여 년이 지난 후 2015년에 출판된 漢字構形學導論까지 내용이 보완되면서 점차 늘어난 편폭 만큼 한자구형학에 대한 저자의 깊은 통찰력도 더욱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 책 서문에서 저자는 한자를 인식하는 데 필요한 두 가지 열쇠가 표의성(表意性)과 형태 구성(構形)의 체계성이라고 강조하고 있으며, 이것은 漢字構形學을 지배하는 기본 원리라고 할 수 있 다. 漢字構形學은 한자의 본체인 ‘형태(形)’에 초점을 맞추어 한자의 형태가 구성되고 변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연구하며, 그 이론을 관통하고 있는 핵심 주제는 한자의 ‘체계성’이다. 체계성의 핵심 의미는 그 체계를 구성하는 요소 간의 유기적 관계 에 있다. 이 책은 한자의 본체인 자형(字形)을 중심으로 한자 체계의 내부적, 외부적 요 소 간의 ‘관계’를 폭넓게 다루고 있다. 그리고 한자 체계 내부에 존재하는 각종 관계와 외 부 요소와의 관계는 통시적인 형태 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근거로 증명한다. 이 책은 이론적인 문제의 해결에서 ‘관계’를 기술하여 설명하고 ‘근거’를 들어 ‘증명’하는 한 자학의 학술적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탄성문제에 관한 Eshelby의 이론을 응용하여 다수의 개재물이 모상 중에 균일하게 분산하고 탄성적으로 불균질한 복합재료의 거시적 응력-변형관계를 정식화하였다. 정식화의 과정에서, 주위의 구속을 받지 않는 어떤 영역에 응력의 발생을 동반하지 않는 변형률 (transformation strain εkl), 즉 열팽창 제수를 갖는 물체가 온도변화 δT 를 갖는 경우의 열팽창 변형 αδT나, 물체가 일정한 소성 변형을 받았을 때의 소성 변형 등을 예로들 수 있는 역학 장을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전개한 방법은 선형 탄성론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복합체의 탄성거동만이 아니라 탄성-소성 거동의 해석 또한 가능하게 하였다
The Chosŏnwangjosillok (Annals of Chosŏn Dynasty; Sillok) not only contains the history of our ancestors, but also covers a broad spectrum of different fields, ranging from diplomatic rel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and economic issues such as taxation and land, to natural sciences such as astronomy and meteorology. The value of the Sillok as a historical record is already well recognized even outside of Korea. Unfortunately, the Sillok was written in hanmun, thus translation is inevitable. This thesis is indeed about the translation process of the Sillok, explaining, using concrete examples, various principles and careful considerations that need to be adhered to during translation.
The first principle in translating the Sillok is keeping to the original as much as possible.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inherent within the Sillok. There are many parts that only experts of that field can understand, such as science or music. Furthermore, the fact that, due to conflict between different political factions, revised annals exist also ha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next principle is that the Sillok must be translated using pure Korean and standard Korean language rules. Rather than mechanically transliterating the texts by simply adding Korean postpositional particles to hancha and hanmun-style expressions, the translator must be able to maintain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text, at the same time allowing people of the modern era to read and understand it. But one must also remain vigilant to make sure that the translation does not excessively modernize the text, thereby diluting the meaning of historical sentences. Translation is a process of rendering a text in a languag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In order to be able to translate accurately, the translator has to have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language.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Korean hanmun and Chinese hanmun is that the former contains idu. Although hanmun originally came from China, it changed according to Korean circumstances,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Korean-style hanmun. It adapted to Korean culture but could also easily combine with Chinese hanmun. In regard to the use of idu, hancha words that are unique to Korean hanmun are particularly important. These characteristics are all reflected in the Sillok. Therefore, how to properly translate Korean-style hanmun sentences is very important in the translation process. This thesis explains these characteristics using concrete examples like names of places and people.
Various methodologies are required in translating a national heritage such as the Chosŏnwangjosillok to befit the modern era while maintaining its uniquenes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not to damage the original. The paper looks into various considerations that must be made in order to render a good translation, in order to contribute to future attempts to translate the Sill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