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은 신분적으로는 천민이었으나 그녀들이 향유했던 문화는 늘 대 중의 중심에 있었다. 조선시대 궁중여악을 담당했으며 양반사대부들과 문학과 음악을 교류하며 유행을 선도했던 계층이었다. 일제강점기에 들 어서는 권번에 소속되어 극장을 통해 다양한 전통예술을 선보였다. 조 선시대 기생들은 양반출신 부녀자들보다 생각과 가치관에 있어서 오히 려 더 자유로울 수 있었고 사회적 역할에 있어서도 적극적으로 참여했 던 ‘신여성’이었다. 이러한 그녀들의 자유로운 활동은 오늘날 국악의 한 페이지를 차지하고 있으며 시와 문학으로 남겨졌다. 본 연구는 기생 의 예술적 활동을 살펴보고 낮은 신분의 한계를 극복하고 전통예술을 전승하고 선도했던 다양한 활동과 사회적 성격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 이 있다. 오늘날, 기생을 편협된 시각으로 바라보게 된 과정에는 전통 예인 기생과 삼패기생과의 구분을 하지 않았던 점과 그녀들의 예술적 활동에 대한 부족한 연구에 있음을 주목하였다. 전통예인 기생은 시대 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예술적 활동을 전개하였고 사회적 역할을 감당 하였으며 또한 부응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전통예술 을 전승하고 계승했던 기생들의 예술적 활동과 사회적, 여성사적 역할 을 분석하고 그 함의를 고찰한다.
A lot of work has been done on the topic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In spite of the amount of the work, however, not much work has appeared that summarizes the overall research trend in such a way that we gain insights into the future direc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 field. This study aims to work out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that may shed light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field and also on the things that have to be done to further develop the Korean costume design field. The analysis reported in this work is based on the articles that appeared in two journ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published by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661 articles from the year 1977 to 2019) and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published by the Society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762 articles from the year 1998 to 2019).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only a very small amount of work is devoted to actual designing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and this has to change to globalize Korean traditional fashion and draw worldwide attention to it. So more work is needed particularly on actual designing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This does not mean that we simply have to maintain tradition and replicate the original designs, but we have to endeavor to work out novel designs by, for instance, creative destruction and restructuring, maintaining the essence of the tradition of Korean costume.
본 연구는 전통사회 관련 아동교육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연도별로 연구수량, 연구내용, 연구방법을 분석하여 전통사회 관련 아동교육 학위논문의 연구경향을 구체적으로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째, 학위논문의 연구수량은 제1기와 제2기에는 연구의 수량이 적었고, 제6기와 제7기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내용은 초기에는 아동교육에 대한 연구가 많았고, 제6기와 제7기에는 전통문화교육의 인식과 실태, 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 및 학습법 개발, 전통문화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크게 증가 하였다. 셋째, 연구방법은 제1기와 제2기에는 문헌연구, 조사연구, 실험연구가 주로 사용되었고, 제5기부터 연구방법이 다양해지면서, 제7기에는 실험연구, 개발연구가 크게 증가하였으나, 내용분석은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