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ous diffusion experiments using geologic media have been carried out and it is often assumed that aqueous diffusion is the dominant transport mechanism. However, in some cases diffusive migration has been much faster than predicted in the model simulation. To explain such results surface diffusion of sorbing species was invoked. Experimental results were generally open to interpretation but possible existence of surface diffusion, whereby sorbed radionuclides could potentially migrate at much enhanced rates, necessitated investigation. The potential for surface diffusion of some sorbing nuclides on through-diffusion experiments using domestic rocks was examined. The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s for sorbing cations were determined from their steady-state diffusion flux through rocks disks, while effective and pore diffusion coefficients were obtained with non-sorbing tracers through the same rocks. Diffusive transport models through domestic granites and granodiorites based only on pore diffusion did not often described adequately for sorbing cations. Thus, surface diffusion should be considered. Then what was the most important measure to estimate surface diffusion? As far as we examine, the sorption reversibility provides a hint of surface diffusion. The reversible sorbing species, for example, Sr, has a remarkable surface diffusion contribution, whereas surface diffusion has a relatively small contribution for irreversibly sorbing species such as Cs and Am under domestic experimental conditions.
조간대성 해빈 퇴적물의 이동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반도 남해안의 득량만에서 해빈 주변 표층퇴적물과 해빈 단면, 해빈 퇴적물, 해빈 퇴적률, 그리고 해빈 수리에너지 특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문 해빈은 급경사의 해빈면과 완경사의 저조단구로 이루어져 일반적으로 조차가 파고에 비해 큰 해빈 단면의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만입된 안의 중앙 해빈면은 여름에 평탄해지고 그 밖의 계절에는 파봉과 유흔이 발달하는 등 뚜렷한 계절변화를 보인다. 이러한 해빈 단면의 계절변화는 연구지역의 해빈 퇴적작용이 주로 조석에 의해 지배되지만 파랑의 영향도 강하게 받고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빈 퇴적률의 계절변화에서도 잘 나타난다. 즉, 겨울에는 강한 파랑의 영향에 의해 침식이 우세한 반면, 그 밖의 계절에는 상대적인 저에너지 조건 하에서 퇴적이 우세한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해빈의 중앙은 여름에도 뚜렷하게 침식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여름에 간헐적으로 발생한 남풍 계열의 강한 바람에 의한 파랑이 해빈에 강하게 미치기 때문이다. 한편, 해빈 퇴적물은 만입된 해빈의 중앙에서는 -89.2 mm/yr로 침식된 반면, 양쪽 측면에서는 각각 60.5 mm/yr와 38.2 mm/yr로 퇴적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같은 현상은 해빈의 중앙에 분포하는 퇴적물이 파랑이 강화되면 침식되어 양쪽 측면으로 이동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해수욕장으로 주로 이용되는 수문 해빈의 중앙은 방파제 건설에 따른 조립질퇴적물의 공급이 제한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지속적으로 침식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