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로 주행의 안전성 측면에서 타이어-노면간 미끄럼 마찰력은 주행 차량의 제동거리와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포장재료와 공법은 노출되는 포장 표면에 적절한 노면의 조직(Texture)을 형성하여 노면의 미끄럼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도로 표면에 노출되는 사용골재의 크기와 종류를 달리하거나 인위적인 홈을 주어 Macrotexture와 Microtexture를 형성 한다. 형성된 노면 조직은 시간이 경과 됨에 따라 환경하중과 교통하중이 반복 재하되면서 표면마모가 급격히 진행된다. 교통량의 흐름에 따라 마모로 인해 Microtexture 뿐만 아니라 Macrotexture의 노면조직은 매끄러운 표면으로 변해간다. 교통량의 흐름은 다양하다. 교통량 통계자료에 따르면 고속도로 이용차량의 약 70%는 승용차와 같은 2축 1단위로 구성 된 1종 차량이 차지하고 있다. 이는 국내 교통 특성은 포장 마모에 취약한 환경임을 말해주고 있다. 주행 차량들의 좌/ 우 바퀴의 간격과 주행위치의 다른 궤적에 따라 차량바퀴의 횡방향 변동을 원더링(Wandering)이라하는데, 도로포장 분 야에서 교통특성이 포장에 미치는 영향으로 원더링에 대한 연구 많이 진행 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고속도로와 시 험도로에서 횡방향 위치별 미끄럼 마찰을 반복 조사하여 차량의 원더링에 따라 미끄럼 마찰저항이 다르게 분포함을 정 량적으로 입증하였다.
        2.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es and expected problems of traffic flow in connection with ground roads that are expected to become stagnant owing to the increase in underground road infrastructure, and to derive methods to solve the problem in the future. METHODS : The basic design of underground roads is similar to that of tunnels. However, there is a point where the slope is large as the entering and exiting sections move underground. The ability of a heavy vehicle to assume a mound may vary depending on the slope. Therefore, in this study, a connection path section with a long slope was constructed using VISSIM, a simulation program, and it was verified whether analysis related to the slope and heavy vehicles in an underground road can be performed in the simulation. Subsequently, an analysis was conducted by setting a scenario and an effect index.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internal delay patterns in the event of an unexpected situation on an underground connection road by performing shock wave analysis to analyze speed reduction according to heavy vehicles and slopes. RESULTS : A correlation between the slope of the underground road and decrease in the average speed according to the increasing rate of heavy vehicles was established. It was also possible to analyze the maximum length and duration of the delay connected to the rear in the event of a delay in the underground road and the shock wave speed transmitted to the rear.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rate of increase in problems owing to delays ranged from 5% to 20% for the ratio of heavy vehicles. In particular, all effect scales increased significantly at a 9% slope. CONCLUSIONS :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s of land congestion (slope and heavy vehicle mixing rate), which can be a major problem in underground roads in the future. In the future, by establishing lane-specific speed control strategies and lane control strategies based on this study, it will be necessary to derive solutions such as introducing traffic safety on the underground road by minimizing the shock wave delivered to the rear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raffic communication conditions inside the underground road to individual vehicles.
        4,300원
        3.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속도로 및 국도 등의 인터체인지 유출부에 대한 설계기준과 연구 내용은 주로 변이구간, 감속차로, 곡선반경, 유출각 및 노즈부의 형상 등 자동차와 도로 기하구조간의 운동역학적인 관점의 안전성 확보만 주요 관심사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차량 주행속도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첫째 현행 설계기준의 이론적 의미를 해석하고, 둘째, 유출부 완화곡선에서 차량의 주행속도 및 교통사고 특성을 살펴보았고, 셋째, 기존의 인터체인지 유출 램프부 최소곡선반경의 부적합성을 검토한 후 운전자의 완화 곡선부 주행특성에 맞는 새로운 완화곡선 설계방법을 제시하였고 그 결과를 산출하여 기존방법과 비교 검토한 결과 유출램프 완화 곡선부 설계속도 50km/h, 40km/h의 경우기존의 원심력과 구심력이 평형을 이루는 최소곡선반경에서 관성력이 커져 교통사고의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새로이 제안한 감속주행 완화곡선에서는 기존의 완화곡선보다 관성력이 작아지고 곡선은 커져 기존보다 안전한 곡선으로 확인되었다.
        4,200원